일반 촬영 -두경부-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22. 00:00 병원/국가고시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오늘은 일반 촬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범위가 광범위 하다 보니 우선 두경부 쪽 검사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촬영

2교시 <영상진단기술학> -방사선 영상학 / 3교시 <방사선 실기> 10문항

 

Skull


Skull Lateral

Position : True Lateral

MSP 필름과 평행

IPL 필름과 수직

IOML 필름횡축 평행

C-R : EAM 상방 5cm

 

 

 

 

 


Skull PA

Position

MSP 중심선 평행

OML 필름에 수직

Center : 비근점(nasion)

C-R : Caudal

0° : 전두골

15° : 일반적 검사

20~25° : 안와 / 상안와열

25~30° : 비근점 / 정원공

 


AP Axial (Towne's / Grashy)

Position : OML / IOML 수직

Center

Grashy : 대공

Towne‘s : glabella 3inch↑

C-R

OML : Caudal 30°

IOML : Caudal 37°

PA Axial (Hass Method)

Prone, Glabella 4cm↑

C-R : Cephalic 25°


Submentovertical (Schuller)

Position : IOML 필름에 평행

Center : EAM 앞 2cm 중앙점

C-R : IOML에 수직입사

C-P

난원공(foramen ovale, 안쪽)

극공(foramen spinosum)

하악골

접형동, 사골동

V-S(두정하악방향)

Position : Prone

Sella Turcica


Sella Turcica Lateral

Position : True Lateral

C-R : EAM 전방 2cm 상방 2cm

C-P : with Cone

전·후상돌기(Crinoid process)

Pituitary Fossa

안배(Dorsum sella)

접형동 : 터키안 앞쪽


AP Axial (Towne's)

Position : OML / IOML 수직

C-R

OML : Caudal 30°

IOML : Caudal 37°

C-P : with Cone

OML : 안배, 전상돌기

IOML : 대공, 후상돌기

Optic Foramen


Parieto-orbital(Rhese)

Position

AML 필름과 수직

MSP 필름과 53°(촬영측)

C-R : Acanthion

C-P : 안와 하·외측 사분점 양쪽

 

 


Orbito-Parietal

supine, MSP 촬영반대측 53°

 

Alexander Method

후두골 아래 15°경사 스펀지

MSP 필름에 40°

Nasal Bone


Nasal Lateral

Position : True Lateral

C-R : 비근점(Nasion) 하방 2cm

C-P : 양쪽 비교, 연부조직

 


Tangential

Position : MSP, GAL에 수직

C-R : GAL에 수직입사

C-P : 구내용 필름

골절의 내·외측 변위

 

Zygomatic Arch


Submentovertical(Schuller)

Position : IOML 필름에 평행

Center : 외안각 하방 2.5cm

C-R : IOML에 수직입사

C-P : Schuller보다 낮은 조건


Tangential

Position : IOML 필름과 평행

15° tilt, 15°rotation

C-R : IOML에 수직


AP Axial (Towne's)

Position : OML / IOML 수직

C-R

OML : Caudal 30°

IOML : Caudal 37°

C-P : Towne's 보다 낮은 조건

 

PA Axial (Titterington)

 

PA Axial Oblique (Fuchs)

Position

AML 필름과 평행

MSP 촬영반대측과 45°

C-R : Caudal 35°

C-P : 한쪽관찰

 

Mandible


PA Axial

Position

MSP 중심선 평행

OML 필름에 수직

C-R

하악체 : 입술에 수직입사

하악지,악관절 : Cephalic 30°


PA Axiolateral

Position : semi prone

C-R

하악체 : Cephalic 25°

하악지 : Cephalic 25°

하악결합 : Cephalic 20°


Submentovertical

Position : IOML 필름에 수직

C-R

IOML 수직(하악결합 밑 4cm)

 

 

Oblique

Position

Ramus : True Lateral

Body : 30° rotation

Mentum : 45° rotation

General : 10~15° rotation

C-R : Cephalic 25°

 

T-M Joint


Axiolateral (Close)

Position : True Lateral

C-R

Caudal 25~30°

EAM 전방 2.5cm

C-P : 악관절이 EAM 앞

Open/Close 촬영

Law Method

Position : 머리 15°회전(촬영측)

C-R : Caudal 15°, 반대측 EAM 상방 4cm

 

Transfacial (Albers-Schonberg)

Position : True Lateral

C-R : Cephalic 30°


Axiolateral (Open)

Position : True Lateral

C-R

Caudal 25~30°

EAM 전방 2.5cm

C-P : 악관절이 EAM 앞

Open/Close 촬영


AP Axial

Position : OML 필름에 수직

C-R

Caudal 35°

비근점(Nasion) 상방 7.5cm

C-P : Open/Close 촬영

 

P.N.S


PNS Lateral

Position : True Lateral

C-R : 외안각 후방 2~3cm

C-P

상악동(Maxillary Sinus)

전두동(Frontal Sinus)

사골동(Ethmoid Sinus)

접형동(Sphenoid Sinus)


Caldwell (PA Axial)

Position : OML 필름에 수직

C-R : 비근점에 Caudal 15°

(GML 기준 Caudal 23°)

C-P

전두동

전두동 바로 밑의 사골동

안와 밑 1/3

추체능(petrous ridge)

정원공(Foramen Rotundum)


Water's (Parietoacanthial)

Position : OML 필름과 37°

C-R : 비극점(acanthion)

C-P

상악동

상악동 밑 추체능

정원공


Pirie (Open-Mouth Water's)

Position : Open Mouth

C-R : 전비극

C-P

상악동

접형동(입안)


Schuller (Submentovertical)

Position : IOML 필름과 평행

C-R : IOML에 수직

C-P

사골동(앞쪽)

접형동(뒤쪽)

PNS 관찰 촬영

Frontal S. : Lateral, Caldwell

Maxillary S. : Lateral, Water's, Pirie

Ethmoid S. : Lateral, Caldwell, Schuller

Sphenoid S. : Lateral, Pirie, Schuller

 

정원공(Foramen Rotundum)

Caldwel, Water's, Pirie

Temporal Bone


Law (Axiolateral)

Position : True Lateral

귓바퀴 앞으로 접는다

C-R : EAM 후·상방 2.5cm

단일각도 이중각도

Caudal 15° Caudal 15°

(머리 15°) Toward 15°

C-P : Mastoid Portion(양측비교)


Stenvers (Posterior Profile)

Position : IOML 횡축과 평행

Prone, MSP 촬영측 45°

C-R : Cephalic 12°

비극점-EAM 중앙점

C-P

추체 : 반측면상

내이관(Internal Acoustic Canal)

유돌봉소(Mastoid Air Cell)

 

Arcelin (Anterior Profile)

Supine, MSP 촬영반대측 45°

Caudal 10°


PA (Transorbital)

C-R : 비근점(Nasion) Caudal 5°

C-P : 내이관


Hass (PA Axial)

C-R : Cephalic 25°

C-P : 내이관


Mayer (Axiolateral Oblique)

Position : MSP 촬영측 45°

C-R : Caudal 45° EAM

C-P : 내이 관찰에 가장 적합

미로(Bony Labyrinth)

 

Owen (Modified Mayer)

MSP 40° Caudal 28°


Schuller (Submentovertical)

C-R : IOML에 수직

C-P : 내이관

※경상돌기(Styloid Process)

Fuchs Method : AP, acanthion, Caudal 13°(Open Mouth)

Cahoon Method : PA, nasion, Cephalic 25°

Wigby-Taylor Method : Cephalic 8°(Open Mouth)

※설하신경관 : Miller Method - AP, Upside 45° Oblique, Caudal 12°(Open Mouth)

반응형

'병원 >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시 촬영  (3) 2017.07.08
일반 촬영 하지  (1) 2017.07.07
일반 촬영 어깨, 팔, 그리고 손목  (0) 2017.07.06
일반 촬영 흉부, 복부 및 척추  (1) 2017.07.06
Angio (중재적 시술 ,혈관 조영술)  (2) 2017.06.21
방사선 사진학  (2) 2017.06.13
방사선 기기학  (3) 2017.06.07
MRI  (4) 2017.06.06


리니지 M 후기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21. 20:10 게임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 소장입니다.


리니지 M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오늘은 고대하던 게임 리니지 M이 출시 된 21일 입니다. 저는 20일 저녁에 다운 받아서 00시에 도전을 해보았으나 서버 불안정 때문인지 아니면 사람이 많이 몰려서 인지 몰라도 안됩니다. ㅜㅜ


그래서 결국 아침에 실행을 해보았습니다.


이전에 구글 아이디로 사전 등록을 하여서 발카라스 08 서버 여 요정으로 시작을 하게 되었습니다.


아이디는 건설입니다. ㅎㅎ 



캐릭터는 우선 2개까지는 무료이나 3개 부터는 유료인거 같습니다.






다음은 글루딘 마을 배경입니다. 상인 그리고 다양한 NPC가 상주 합니다.

여기서는 사는 물건을 살 수 있는 NPC 따로 있고 파는 NPC 가 따로 있어서 조금 불편합니다.


 


전투 화면 입니다. 자동 전투로 돌릴 수 있으나 현재 서버가 불안정 해서 그런지 캐릭이 자주 사냥을 멈추고 멍때리거나 몹을 따라만 다니는 경우도 있습니다.


여기까지 리니지 M에 대해서 아주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거래소가 안되어 많은 유저가 실망했다고 하네요 사행성 게임이 되면 청소년을 할 수 없다고 하니 그건 머 별수 없겠네요


하지만 NC에서는7월 20일에 거래소가 오픈 한다고하니 기대해 보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오늘은 리니지 M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클릭 및 공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전게임] 1942  (0) 2018.05.14
[고전게임] 블러디 로어2  (0) 2018.04.19
[고전게임] 텐가이  (0) 2018.04.19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0) 2017.05.12
더 킹 오브 파이터즈 (kof)- fightcade-  (4) 2017.05.10


Angio (중재적 시술 ,혈관 조영술)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21. 19:39 병원/국가고시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오늘은 저 나름대로 쉬웠던 angio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NGO 가 아닌 angio 입니다.ㅎㅎ


임상에 오면 나름 자주 보게 되어 눈에 익숙하지만 학생 때는 그저 영상 보고 외우시는 게 가장 좋은 방법 입니다.


심혈관조영술

2교시 <영상진단기술학> -방사선 영상학 / 3교시 <방사선 실기> 3문항

 

뇌신경계

 


ICA Arterial Phase

 

1. ICA (Internal Carotid Artery)

2. ACA (Anterior Cerebral Artery)

3. MCA (Middle Cerebral Artery)

4. A-com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5. Ophthalmic Artery

6. P-com

(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

 

Femoral Artery Puncture

HN Catheter

 


ICA Venous Phase

 

1. Superior Sagittal Sinus

2. Transverse Sinus

3. Sigmoid Sinus

4. Jugular Vein

5. Inferior Sagittal Sinus

 


VA Arterial Phase

 

1. Vertebral Artery

2. Basial Artery

3. Superior Cerebellar Artery

4. PICA

(Pos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5. AICA

(Anterior Inferior Cerebellar Artery)

6. PCA(Posterior Cerebral Artery)


ECA

 

1. CCA (Common Carotid Artery)

2. ICA (Internal Carotid Artery)

3. ECA (External Carotid Artery)

4. Lingual Artery

5. Facial Artery

6. Occipital Artery

7. Superficial Temporal Artery(천측두동맥)

8. Maxillary Artery

 

 

심혈관


Arch Aortography

 

1. 상행대동맥 (Ascending Aorta)

2. 하행대동맥 (Descending Aorta)

3. 완두동맥 (Brachiocephalic Trunk)

4. 좌 총경동맥 (Left Common Carotid Artery)

5. 좌 쇄골하동맥 (Left Subclavian Artery)

6. 우 쇄골하동맥 (Right Subclavian Artery)

7. 우 총경동맥 (Right Common Carotid Artery)

8. 우 추골동맥 (Right Vertebral Artery)

9. 좌 추골동맥 (Left Vertebral Artery)

 

Femoral Artery Puncture

Pigtail Catheter

 


Left Coronary Artery Selection

 

1. Left Coronary Artery

2. Anterior Descending Artery

3. Circumflex Branch

4. Marginal Branch

 

Femoral Artery Puncture

→ Abd. Aorta → Aortic Arch

Judkin Catheter

 


Right Coronary Artery Selection

 

1. Right Coronary Artery

2. Sinuatrial Nodal Branch

3. Marginal Branch

4. Posterior Descending Branch


IVC Filter Insertion

 

IVC Filter : Greenfield Filter - Renal Vein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

DVT(Deep Vein Thrombosis) & Pulmonary Embolism

Internal Jugular Vein Puncture

Cobra Catheter , Gold pig Catheter

흉부호흡기계


Pulmonary Angiography

 

Right Femoral Vein Puncture

→ Iliac Vein → IVC → Right Atrium → Pulmonary Trunk

Pigtail Catheter

위장관계


Celiac Angiography

 

1. Celiac Trunk (T12~L1 Level)

2. Common Hepatic Artery

3. Splenic Artery

4. Proper Hepatic Artery

5. Left Hepatic Artery

6. Right Hepatic Artery

7. Gastroduodenal Artery

8. Right Gastroepiploic Artery

9. Left Gastric Artery

10. Left Gastroepiploic Artery

 

Femoral Artery Puncture

RH Catheter

 


SMA & IMA

 

1. Superior Mesenteric Artery(L1)

2. Middle Colic Artery

3. Right Colic Artery

4. Ileocolic Artery

5. ileal Artery

6. Jejunal Artery

7. Inferior Mesenteric Artery(L3)

8. Left Colic Artery

9. Sigmoid Colic Artery

10. Superior Rectal Artery

 

Femoral Artery Puncture

TIPS(경정맥 간내문맥정맥단락술)


적응 : 간경화에 의한 문맥고혈압으로 인한 위, 식도정맥류 예방

Right Jugular Vein Puncture

→ SVC → Right Atrium → IVC → Hepatic Vein

→ Venogram(Hepatic Vein확인) → 간실질 통해 Portal Vein

→ Venogram(Portal Vein확인) → Ballooning & Stent

비뇨기계

 


Renal Angiography

& Abdominal Aortography

 

Femoral Artery Puncture

Renal Artery Selection(L1~2 Level)

Cobra Catheter

 

신성고혈압

신동맥의 협착으로 인해

안지오텐신의 분비가 촉진되어

혈압 상승

하지


1. Abdominal Aorta

2. Common Iliac Artery

3. External Iliac Artery

4. Internal Iliac Artery

5. Common Femoral Artery

6. Deep Femoral Artery

7. Superficial Femoral Artery

8. Popliteal Artery(오금동맥, 슬와동맥)

9. Anterior Tibial Artery

10. Posterior Tibial Artery → Lateral Plantar Arch

11. Dorsalis Pedis Artery


반응형

'병원 >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촬영 하지  (1) 2017.07.07
일반 촬영 어깨, 팔, 그리고 손목  (0) 2017.07.06
일반 촬영 흉부, 복부 및 척추  (1) 2017.07.06
일반 촬영 -두경부-  (0) 2017.06.22
방사선 사진학  (2) 2017.06.13
방사선 기기학  (3) 2017.06.07
MRI  (4) 2017.06.06
방사선 계측학  (1) 2017.05.13


돌아온 슈퍼 사이어인 손오공 -드래곤볼 슈퍼 1화-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19. 20:44 만화/드래곤볼 슈퍼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오늘은 90년대 최고의 만화 영화라고 해도 과언이 안되는 만화 드래곤볼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습니다.


드래곤볼 슈퍼 란 만화입니다. 드래곤볼 만화 완결과 바로 연결되는 스토리로 손오공은 마인 부우 이후 지구가 공격 받을 시를 대비하기 위해 훈련 하는 것으로 시작되어 집니다.







한편 우주 다른 행성에서는 파괴신 비루스가 취미로 행성을 파괴하고 다닙니다. 그 행성 음식이 맛있으면 놔두고 맛이 없으면 파괴하는 설정입니다.


 

너무 심심하고 꿈에서 본 사이어인을 상대해 보고 싶어 손오공을 만나게 되고 손오공은 초사이언 3으로 변신하여 비루스를 상대하지만 단 한방에 기절하고 맙니다.

다른 사이어인이 있는 지구로 향하는 비루스 과연 지구의 음식은 비루스를 만족 시킬 수 있을까요?

다음화가 궁금하시다면 밑에 1화 보기를 클릭 하시기 바랍니다.


1화보기



도움이 되셨다면 클릭 및 공감 부탁드리며  즐거운 시간 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마력은 없지만 체력은 있다. -블랙 클로버 1화-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13. 20:45 만화/블랙 클로버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요즘 취미로 보고 있는 만화에 대해 소개 해보고자 합니다.


블랙 클로버란 만화로 마법을 사용하는 사람이 사는 세계로 마계로 부터 세상을 구한 마법제를 꿈꾸는 소년 주인공은 아스타의 모험이야기 입니다.




마법 세상이지만 우리의 주인공 아스타는 마법을 사용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동네 꼬마에게 유린이나 당하는 꼴이죠~






한편 아스타의 라이벌이나 오랜 친구인 유노는 강력한 마법책인 클로버 책을 소유하고 재량 또한 출중합니다.




아스타는 추후 반 마법서를 얻게 되고 유노와 마법제가 되기 위한 여행을 펼치게 됩니다.













전 개인적으로 능력 없지만 열심히 노력하여 차츰 차츰 성과를 내는 만화를 좋아하는 편인데 제 성향에 맞는 만화인것 같아 재미 있게 보고 있습니다. 보기를 원하시면 밑에 댓글 클릭 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1화 보기

반응형


방사선 사진학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13. 20:02 병원/국가고시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오늘은 x-ray로  어떻게 영상이 만들어지는 사진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필름 사용할 시 많이 중요하였던 과목입니다. 현재는 DR을 사용하여 조금 중요도가 떨어졌지만 그래도 기본이니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방사선 사진학

2교시 <방사선 응용> 10문항

 

사진농도

투과도 투과율 불투과도 

사진농도(흑화도, density)

 → 농도의 대수치

농도 0.3 상승? → 불투과도 2배상승 → 투과도 반

※ 농도가 커진다? : 까매진다 → 불투명해진다 → 불투과도 상승 → 투명도 하락

※ 필름 두장 겹치면 농도는 어떻게? : 농도값을 그냥 더한다 → 이러려고 대수치 사용

사진특성

대조도(Contrast)

대조도 = film 대조도 + 피사체 대조도

피사체 대조도(선대조도) : 투과 X선 강도차이

좌우인자 - 피사체 두께

film 대조도 : 필름 or 현상처리에 따른 변화

좌우인자 - 감광재료 종류 / 필름의 농도

평균계조도( ) : 직선의 경사도

0.25+Dmin~ 2.0+Dmin


가장실용적인 농도영역(진단유효농도범위)

감마(ϒ) : 직선부의 경사도

경조(high contrast) : 경사가 크다

연조(low contrast) : 경사가 낮다

대조도 결정요인

밀도차 : 조직간 흡수차 *조영제

관전압 : 관전압이 크면 피사체 대조도 감소

filter처리 : 저E 제거로 관전압상승과 동일효과

산란선

선예도(Sharpness)

경계, 세밀한 부위의 급격한 흑화도 변화

기하학적 불선예도 : 반음영(penumbra)

선원의 유한한 크기에 의한 불선예도

초점크기↓, OFD↓, FOD↑ : 불선예도 감소

흡수불선예도 : 고유불선예도

운동불선예도 : 노출시간↓, 피사체고정, 호흡정지

해상도(Resolution)

영상에서 실제로 분리·식별할 수 있는 능력

 [line pair/mm]

해상력 차트를 통해 측정

감도(Sensitivity or speed)

1.0+ base + fog의 농도를 얻기 위한 노광량의 역수

감도↑ : 적은 노출로 농도 잘 낸다는 의미

 

비감도(RS, relative sensitivity)

상대적 감도

<기준>에 대한 <비교>의 비감도

관용도(Latitude)

진단유효농도부의 가로축 크기

관용도와 대조도는 반비례

산란선

피사체 두께가 두꺼울수록

조사야 크기 클수록

관전압 높을수록 → 산란선 증가

광화학 제1법칙(Grotthus-Drapper) : 반응계는 흡수된 빛 또는 에너지만이 광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유제 = 할로겐화은 + 젤라틴

할로겐화은

등축정계의 입방격자구조

AgNO3 + KBr → AgBr + KNO3

광흡수 파장 : AgI > AgBr(480nm) > AgCl(440nm)

브롬화은(AgBr) : 최대감도 480nm, 최저감도 430nm

※현재는 AgBr + AgI(소량)

AgI를 섞어 ①감도 증가 ②파장범위↑

결함

Frenkel결함 : 유리격자간 음이온 (부피변화X)

Schottky결함 : 은이온의 격자 이탈 (부피변화)

dislocation : 선단전위, 나선상전위 등

단색성유제

정색성유제

Regular type, 비정색성

Ortho type, 희토류

청색감성

녹색감성

with CaWO4증감지

with 희토류증감지

분광증감X

분광증감O

등적색 안전광

농적색 안전광

구형 입자 유제

판형 입자 유제

젤라틴

화학적 불순물 : 유황화합물 제공 → 감광핵 생성

결정격자의 결함 형성 : 전자포획

결정성장 매개체 : 브롬화은 핵의 성장을 유지

노출 후 브롬화은의 역반응↓

수분흡수(팽윤) : sol ↔ gel → 현상액 침투

아미노기 & 카르복시기 구조

분광증감

색증감 = 염료증감 = 광학증감

제2숙성(화학숙성) 후 첨가

잠상 : 노출 후 · 현상 전, 감광재료에 만들어진 불가시상

형성과정 빛 흡수에 의한 광전자 형성

감광핵에 전자포획

음전하 포획한 감광핵에 Ag+ 집중

잠상 형성

잠상형성이론

Gurney-Mott 이론

Mitchell 이론

사진농도

 

보호층

 

 

지지체(base)

방수 & 난연성

Blue(대조도↑, 피로↓), Clear(fog↓)

Back층

말림(curl) & Halation 방지*

최적보관 : 습도 40~60%, 10~15℃

 

 

 

유제층

 

하도포층

 

 

 

 

지지체

상도포층

 

 

 

 

Back층              유제층

보호층

 

 

*Halation : 지지체에서의 반사에 의한 흐림

*Irradiation : 유제층에서의 산란에 의한 흐림

Film 제조과정

유제 제조

물리숙성

분쇄 & 수세

화학숙성

첨가제

도포

AgBr결정 제조

질산은+할로겐염+젤라틴

제1숙성(전숙성)

유제결정 성장

적정감도↑

유제로부터

가용성KNO3 제거

과량의 KBr 제거

제2숙성(후숙성)

감광핵 형성

증감색소

경막제

안정제

보호층 형성

※증감 : 제2숙성(화학숙성) 후 첨가

화학증감 : 할로겐화은의 고유감도 상승 - 유황증감(황화증감), 금증감, 환원증감

분광증감 : 할로겐화은의 감광영역 확장 - 색증감(=염료증감 =광학증감)

cf> 초증감 : film 감도 증가를 위해 사용 시(필름제조 할 때가 아님) - 전노광, 수은가스법 등

증감지

 

보호층

 

작용 : 흡수 → 변환 → 방출 또는 재방출 (X-ray→빛)

증감계수 


빛 반사층 : 감도↑

빛 흡수층 : 선예도↑

 

 

형광체층

 

반사층 or 흡수층

 

 

지지체

양자반점(양자적 노이즈) : 증감지에서 나오는 불균일한 빛방출에 의한 노이즈

※노이즈 : 양자적노이즈, 전자적노이즈, fog

 

상반법칙 : film에 생성된 사진농도는 적용된 빛에너지의 총량에만 의존 (증감지X)

E = I·t <Bunsen-Roscoe의 법칙>

상반법칙불궤 : I가 크거나 작을 때 (증감지사용)

E = I·tp (P ≠ 1, 상수) <Schwarzschild>

텅스텐산칼슘 증감지 : 관전압 의존성 X

희토류증감지 : 관전압 의존성 O - 60~80kVp 이상 필요

감도측정법(Sensitometry)

Sensitometry

노출량과 사진농도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구하는 방법

용도

film의 사진특성(감도, 대조도 ,fog등)측정

현상처리조건의 성능측정

자동현상기의 처리성능 측정

증감지 감도측정

X선필름의 감도측정법종류

film

감광계

X선

Al step wedge

보정법 : Bootstrap법

Time scale법

증감지-film계

X선

거리 scle법

Time(mAs) scale법

특성곡선(HD곡선=D-logE곡선)

D

 

 

 

 

 


 

족부 직선부 견부 반전부

 

logE

대수치의 이유 ①횡축이 너무 길어져서

②사진특성의 관계를 쉽게 파악

선예도, 입상성, 감색성, 해상력은 알 수 없다

현상처리 : 현상 → 정착 → 수세 → 건조

현상

노광된 브롬화은 중 은이온을 금속은으로 환원

 

현상액

용제 : 물 - 젤라틴 연화

현상주약 : 환원제 - 선택도, 높은 활성도

촉진제 : 알칼리제 - KCO3, NaCO3, KOH, NaOH, 붕사

완충제 : pH 유지

억제제 : 선택도 도움(화학적포그방지) - 음전하장벽

무기성 억제제 : KBr

유기성 억제제 : benzotriazole or fog방지제

보호제 : 산화방지제 - Na2SO3, K2SO3(아황산칼륨)

경막제 : 젤라틴 팽윤 조절

※현상액의 산화

갈색(black coffee color)변색, 농도저하, 대조도 저하

 

현상영향인자

현상액 : 종류, 비율, 피로도, pH(pH↓:현상능력↓)

현상온도 : 온도↑ - 입상성 저하(자꾸 뭉쳐요)

현상시간

현상액 교반

정착

미노출 할로겐화은을 제거, 영상의 정착, 현상의 정지

 

정착액

용제 : 물 - 정착액 희석

정착제 : 불용성 할로겐화은 → 가용성 할로겐화은

티오황산암모늄((NH4)2S2O3)

↳ 부산물 : 티오황산은염, 브롬화암모늄

산제 : 현상의 정지 (pH 4~5.2)

이색포그 : 현상액과 정착액의 상호작용

약산 - 경막제 분해 → Al(OH)3침전 (흰색)

강산 - 티오황산염파괴 → 유황침전 (노랑색)

경막제 : 건조시간 단축, 표면 경막화

완충제 : 유황침전(황화)방지 - 초산나트륨

보호제 : 티오황산염 분해방지 -아황산나트륨(Na2SO3)

찌꺼기 방지제 : 붕산

 

정착영향인자

정착액 구성성분

정착액 온도 : 현상액과 온도차이가 크면 -망모양 주름

정착시간

정착액 보충률

현상주약

Hydroquinone

Phenidone

Metol

완화성

급성

급성

경조

연조

연조

온도영향↑

 

온도영향↓

억제제에 민감

억제제 안민감

억제제 영향X

고농도 세부묘출

저농도 세부묘출

피로도↓

PQ현상액

초가성성 : 두가지 현상주약의 혼합 - 능력향상

브롬이온농도 증가에 내성

선택력 우수

현상능력↑, 피로도↓

자동현상기

주기시간 : dry-to-dry - 45sec

현상온도 : 35℃

건조부 : 압축롤러, 온도-40~65℃

현상액보충 영향인자

필름면적, 유제종류, 영상유형, 공기산화

+ 필름의 방향

Artifact

Black Mark

검은 얼룩 : 현상 전 현상액 또는 물 묻음

검은 지문 : 현상 전 현상액 또는 물 묻은 손

초승달모양 : 노출 후 손톱 혹은 꺾임

정전기흔적 : 나뭇가지, 숲, 별, 왕관 흔적

누설노광

White Mark

흰색 얼룩 : 현상 전 정착액 묻음

흰색 지문 : 정착액 또는 오일계 물질 묻은 손

초승달모양 : 노출 전 손톱 혹은 꺾임

흰점 : 기포

fog

age fog : 유효기간 지난 film

light(optical) fog : 안전광 부적절

radiation fog : 불필요 방사선 노출

oxidation fog : 공기에 의한 산화

chemical fog : 고온, 시간초과, pH↑

scatter fog : 산란선에 노출된 필름

dichronic fog(이색포그) : 부적당 중간수세

↳ 현상액-정착액 상호작용

우유빛 얼룩

부적절한 정착

갈색얼룩

필름의 부적절 수세

사진효과

위사진효과

노광 없이도 여러 물질이나 약품에 의해 잠상형성

- 기름, 혈액, 목재, 짚

Russel 효과 : 금속면이 유제에 접촉했을 때 잠상형성

잠상퇴행(fading)

잠상이 소멸하는 현상

유제의 pH 낮을수록, Ag+ 높을수록 잠상퇴행 많음

→ 고온고습에서 잘 생김

반전효과 (Solarization)

Albert effect, Herschel effect, Villard effect

Clayden effect, Saattier effect

간헐효과

사진농도 → 분할노광 < 계속노광

 

반응형

'병원 >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촬영 어깨, 팔, 그리고 손목  (0) 2017.07.06
일반 촬영 흉부, 복부 및 척추  (1) 2017.07.06
일반 촬영 -두경부-  (0) 2017.06.22
Angio (중재적 시술 ,혈관 조영술)  (2) 2017.06.21
방사선 기기학  (3) 2017.06.07
MRI  (4) 2017.06.06
방사선 계측학  (1) 2017.05.13
방사선 치료학  (5) 2017.05.10


무시무시한 합병증을 낳는 당뇨병 진단과 치료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12. 13:50 병원/의학 상식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저번엔 당뇨병을 알아 보는 시간을 이었고 오늘은 당뇨병 진단 및 치료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당뇨병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다음, 다식, 다뇨 등의 대표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혈당이 200mg/dl 이상일 경우이므로, 당뇨병으로 진단 될 때까지 이미 5년 내지 10년 동안 당뇨병이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의 증상이 다양하여 증상이 없는 사람도 20%나 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40세 이상 성인이나 위험인자를 가진 30세 이상 성인은 매년 당뇨병 검사를 시행하여 합니다.

 

 당뇨병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당뇨병 선별검사는 공복혈당, 경구당부하검사 또는 당화혈색소를 이용합니다. 혈당은 하루에도 수백 번 변하므로 하루에 최소한 4차례 이상 혈당을 측정해야 이상 여부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선별검사 또는 진단검사에 사용되는 공복혈당 값은 정맥을 통해 채취한 혈액으로 검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즉 가정에서 자가검사로 사용하는 스트립을 이용해서는 진단을 하지 않습니다.


경구당부하검사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경구당부하검사는 세계보건기구(WHO) 및 각 국가의 당뇨병 학회에서 당뇨병 진단에 유용성이 있다고 인정한 검사법입니다. 당뇨병 진단에 권고되는 검사법으로 검사 전 적어도 3일 동안 평상시의 활동을 유지해야 합니다. 검사 전날밤부터 10~14시간 금식 후 병원에 내원해 공복혈장 혈당 측정을 위한 채혈을 하고 250~300 ml 의 물에 희석한 무수 포도당 75g이나 150ml의 상품화된 포도당 용약을 5분 이내 마십니다. 포도당 용액을 마신 2시간 후 혈장 혈당 측정을 위한 채혈을 하면됩니다.

 마지막으로 혈당 정도를 파악하는 혈액 검사는 최근 2~3개월간의 평균적 혈당을 반영해 %로 표시하며, 2010년도부터는 당뇨병 진단에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기준 목표값으로도 이용되어 집니다.


당뇨병 진단은 


1. 당뇨병의 증상(다음,다뇨,다식 등)이 있으면서 식사시간과 무관하게 측정한 혈당이 200ml/dl 이상인 경우


2. 8시간 이상 금식한 상태에서 측정하는 '공복혈당' 이 126mg/dl 이상인 경우 (정상은 110mg/dl 이하, 110~126mg/dl 사이는 당뇨병 초기인 장애내당성으로 분류)


3. 경구 당부하 검사에서 2시간째 혈당이 200ml/dl 이상인 경우


4. 당화혈색소 수치가 6.5% 이상인 경우





당뇨병 치료의 목표는 당뇨병 환자가 건강한 사람과 똑같이 사회생활을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습니다. 당뇨병의 진행을 막고, 동시에 당뇨병 합병증의 발생 및 진전을 예방하는 데 있습니다. 치료법에는 식사 요법, 운동 요법, 약물 요법 등 이 있습니다.


식사 요법

 

식사 조절은 당뇨병 치료의 근본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당뇨병이 있다고 해서 못 먹는 음식이 있는 것은 아니고, 자신의 필요한 양에 맞추어 일정한 식사량을 챙겨 먹는 것이 당뇨병의 식사요법 입니다. 혈당 조절의 목표, 환자의 상태, 개인적인 취향 등에 따라 개별화된 계획을 세워 관리가 필요합니다.

* 주의 사항: 과식은 식후혈당을 높이고, 체중을 증가시키므로 적당하게 먹도록 합니다. 또한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습관을 들여 과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당순하게 당이 많이 함유된 식품(설탕,사탕,물엿,꿀,케이크,과자,아이스크림,청량음료)은 영양가는 없이 열량 섭취만 증가 시키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요법


규칙적인 운동은 우리 몸이 포도당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 혈당을 떨어뜨리고, 체중을 줄임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호전시켜 몸이 필요로 하는 인슐린 양을 감소시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미한 혈당장애가 있는 당뇨병 환자나 중간 단계의 당대사 이상(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을 보이는 환자는 식이조절과 함께 운동을 함으로써, 약물 없이도 혈당을 정상범위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주의 사항: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는 담당의의 자문을 구하고, 운동 전과 후에는 혈당을 측정합니다. 다만, 조절되니 않는 심한 고혈당(300~400)이 있으면 운동을 삼가합니다. 식사 후 1시간~ 1시간 30분이 지난 뒤 운동을 해야 하며, 저혈당이 있을 때 먹을 수 있는 간식을 준비하도록 합니다.


약물 치료


그러나 대부분 당뇨병 환자에서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적절한 수준의 혈당 수치에 도달하거나 장기간 적절한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때문에 많은 경우 추가적인 경구 약제가 필요합니다. 경구 할당 강하제는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들 약제의 적용은 제 2형 당뇨병의 경우로 한정되어 있으며, 효과가 있는 경우만 사용합니다. 또한 이들 약제는 결코 인슐린을 대용하는 약이 아닙니다.

*주의 사항 : 약을 임의로 늘리거나 줄여 먹지 않습니다. 약 조정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면 의료진과 먼저 상의하며, 처방받은 약물에 대한 의료진의 설명을 노트에 메모한다. 약 복용을 자주 잊어버린다면 하루 일과와 복약시간을 연관지어 봅니다.




당뇨병에 좋은 음식


오리고기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오리 고기 불포화 지방산이 많아 몸에 좋은 지방섭취를 하는데 도움이 되고, 양질의 단백질을 함께 섭취할 수 있어 저탄수화물 식단을 구성할 수 있다.

한천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한천 칼로리가 매우 낮기 때문에 제한없이 먹어도 무방하다. 섬유소가 많아 포만감을 주어 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되며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토마토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토마토 칼로리가 적고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에 유용하다.

향신료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향신료 겨자,식초,계피 등의 향신료는 염분 섭취를 줄이면서 음식을 맛있게 조리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채소 종류 중에서 1교환단위 당 당질 6g 이상 함유한 채소류는 제한하는 것이 좋은데, 그 예로 단호박, 당근, 도라지, 연근, 우엉, 매생이, 풋마늘 등이 있다.


당뇨병의 예방


당뇨병은 생활습관을 바꾸는 것으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핀란드에서 당뇨병 전단계인 사람을 대상으로 5% 이상의 체중감량, 지방 섭취를 전체 식사량 30% 이하, 1000 칼로리당 섬유소 15g 이상 섭취, 매일 30분 이상의 중증도 운동을 목표로 실천한 결과가 당뇨병의 발생이 50% 이상 감소하였고, 목표를 모두 달성한 사람에게서는 당뇨병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좋은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적정 체중을 유지한다면 당뇨병을 비롯한 여러 대사질환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당뇨병 정의와 이해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11. 12:49 병원/의학 상식
반응형

당뇨병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오늘은 무서운 질환 중 하나인 당뇨병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당뇨 소변에서 당이 나오는 현상에서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가볍게 볼 수 있는 질환이지만 소변에서 나오는 당이 세포로 흡수돼야 할 당분이 혈액 속에 과다하게 남아 있는 상태라서 소변으로 상태인 것 입니다. 혈당은 세포 하나하나에 들어가 우리 몸이 움직이게 하는 에너지원이 되지만 혈액에 남은 당분은 피를 끈적끈적하게 만들어 온몸에 여러 문제를 일으킵니다. 신체에서 혈당을 떨어트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 인슐린인데 당뇨병은 이러한 인슐린 이상으로 생기는 질환 입니다. 

 당뇨병은 제 1형 당뇨병과 제 2형 당뇨병, 그리고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는 임신성 당뇨병, 그 외 이차적 원인에서 생기는 당뇨병 등이 있습니다. '소아 당뇨병' 이라 불렸던 제 1형 당뇨병은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는 병입니다. 현재 전 인구 1% 안팎에서 진단되는 희귀한 병입니다.

당뇨병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제 1형 당뇨병


제 2형 당뇨병은 환경적, 유전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질환으로 환경적 요인으로는 서구화된 식생활에 따른 고열량 고지방 고단백의 식단, 운동 부족, 스트레스, 노화 등이 있는데 가장 큰 것은 비만입니다. 또한 당뇨병을 가진 가족이 있다면 가족력이 없는 사람보다 당뇨병 발생 위험이 더 큽니다. 이를 당뇨병의 유전성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췌장 수술, 감염, 여러 악재 (스테로이드 제제, 면역억제제)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적 요인에 관심을 가지고 주의를 기울이면 당뇨병을 예방할 수 있고, 발병 시기를 현저히 낮출 수 있습니다.





당뇨병 증상으로는 3대 증상이라 불리며 다음(물을 많이 마심), 다식(많이 먹는다), 다뇨(소변양이 많다) 증상이지만, 이는 당뇨병이 심한 경우 높은 혈당에 의해 나타나게 됩니다. 때문에 모든 환자가 이런 증상으로 병원을 찾지는 않고, 단지 피곤하거나 시력이 저하되고, 손저림, 체중감소 등으로 병원을 찾았다가 당뇨병이 진단되는 경우가 많고 아무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체중감소에까지 이르면, 이미 인슐린이 작용을 못해 세포가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쓰지 못하고, 지방, 근육을 에너지원으로 쓰는 단계까지 이르러 케노산혈증, 고삼투압 흡수 등의 급성 합병증 위험도 크다는 것을 시산합니다. 따라서 목이 마르고 이유 없이 체중이 급격히 줄거나 피곤하다면 병원을 찾아 보는 게 좋습니다.

 당뇨병 가족력이 있거나 임신성 당뇨병을 앓았거나 대사증후군 및 비만한 경우 증상이 없어도 자주 혈당을 측정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병은 합병증이 무서운 질환으로 혈당이 올라가면 혈관을 망가뜨리는 동맥 경화증이 오고, 어느 장기에 오는가에 따라 전신에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즉, 당뇨병은 '혈관병' 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모든 합병증은 순서가 있는 것은 아니며, 한 번 생긴 합병증은 다시 정상으로 되돌릴 수 없습니다.

반응형


샤오미 20000 mA 배터리 사용하기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9. 21:33 기타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 소장입니다.


오늘은 휴대용 배터리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저희 병원 직원 뿐 아니라 대부분의 아빠들이 캠핑을 많이 가더군요 아이들도 좁은 집에서 나와 뛰어놀기 좋고 자연관찰도 되고 아빠들은 가족들에게 고기도 구어주고 이것 저것 챙겨도 주니 아빠노릇 제대로 하는 기분이 들더군요

 그러다 아이들도 좀 쉬고 저도 좀 쉬고 싶어서 패드를 쥐어 주곤 하는데 배터리가 하루 이틀을 버티지를 못하더군요 

집에 있는 배터리 2500 mA 두 개 배터리 들고 갔지만 택도 없어서 야심차게 준비한 배터리 샤오미 20000 배터리를 구입하게 되었습니다


샤오미 20000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20000 배터리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저는 아이폰을 사용하는데 8번 정도는 충분히 풀로 충전이 되고 패드는 3~4번 정도는 무리 없는 것 같습니다. 너무 신세계라 저도 좋고 아이들도 좋고 ㅎㅎ 




요즘 더위로 인해서 선풍기도 필요한대 요렇게 UBS 전용 선풍기를 배터리에 직접 연결해서 사용해도 될 거 같습니다.


 usb 선풍기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usb 허브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충전해야 할 제품이 많다면 USB 허브를 이용해서 한번에 충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구입 가격인데요 인터넷에 샤오미 20000만 배터리 검색을 하시면 다양한 가격이 나오는데 지인들에게 물어보니 옥x, 인터 xx 이런 인터넷 매장보다는 소셜 커머스인 티x , 위메x 같은 소셜 커머스 가격이 더 낮다고 들어서 저도 구매전 알아보니 소셜 커머스가 좀 더 낮아 전 소셜커머스를 이용했습니다. 제가 티x 를 통해 구입한 가격은 23000원 정도 되니 구입할 생각이 있으셨던 분들은 참고 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제가 이전 부터 구입 생각이 간절했던 20000mA 배터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사용후기도 한번 추후에 써보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클릭 및 추천 한번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방사선 기기학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7. 20:25 병원/국가고시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오늘은 방사선 기기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쉽게 말해서 x-ray 나오는 장비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이 되겠습니다.

임상에서 장비 들어 올 때 그리고 QC 할 때 많이 사용되어 집니다.

임상과 이론이 크게 차이가 없어서 이론으로 공부 하시면 크게 무리가 없을 거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방사선 기기학

2교시 <방사선 응용> 10문항

 

X선

열전자

리차드슨 공식

 열전자 방출 ∝ 온도의 제곱

2극관

정류관 : 한쪽으로만 흐른다

초속도영역 : 전압이 없어도 전류가 흐르는 영역

공간전하영역 : 0~40kV

kV를 올리면 mA도 오른다

진단용 tube : 40kV↑ (포화영역)

→ mA와 kV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공간전하수 : filament의 온도에만 좌우

<2극관 특성그래프>

공간전하효과(Schottky Effect)

포화영역에서 kVp가 높으면 약간 전류 상승

공간전하보상회로

공간전하효과 보상 : 위상반전 콘덴서 이용

Duane-Hunt's Law [Å]

X선발생강도 & 발생효율

발생강도 =  발생효율 

k : 1.1 × 10-9

X선발생의 필요조건

① 자유전자 공급 - mA관련

③ 저지물(Target) - 텅스텐(Z↑)

 

② 고속도 운동에너지 - 고압변압기

④ 고진공도 유지 - 10-5~-7(2차전자생성X)

X선 발생장치의 기본

진단용 X선발생장치의 구성 : ①X선관장치 ②고전압발생장치 ③제어장치

X선장치의 정격

R : 촬영 F : 투시 D : 치과 T : 3상 C : 콘덴서식 I : 인버터식 H : half - X선발생기 형식

RF-500-100

단상 촬영/투시용

공칭 최대 관전류 : 500mA

공칭 최고 관전압 : 100kV 단, 100kV 500mA는 안됨

CR-1-125

콘덴서식 촬영용

공칭 촬영용 콘덴서 용량 : 1μF -μF

공칭 최고 관전압 : 125kV

HRF-70-P

X선발생기 촬영/투시용

단시간 최고정격관전압 : 70kV

점화방식 : P - 선점화방식 S - 동시점화방식

정격

장시간정격 : 투시용 - 4mA를 넘을 수 없음(피폭)

단시간정격 : 촬영용

초점

실초점

실제 타겟에서 초점의 면적

실초점이 클수록 좋음 : 타겟수명연장

실효초점

상의 형성에 관여 : 작을수록 좋다(반음영 감소)

실효초점 = 실초점 × sinθ

진단영역의 Anode 경사

10~18°

Anode 경사각↓ : Sharpness↑, Useful Beam↓

Anode 경사각↑ : Sharpness↓, Useful Beam↑

초점의 크기

필라맨트 깊이↑ : 정초점↓, 부초점↑

음극(필라맨트)직경↑ : 정초점↑, 부초점↓

kVp↑ : 초점↓ mA↑ : 초점↑

공칭초점(NEMA)

kVp, mA를 정해서 초점의 크기를 정함

등가초점(Homogeneous Intensity Distribution)

특정강도분포를 지닌 균등강도의 분포의 초점크기

초점의 흠집과 그 영향

Spot형성 : 필라멘트와 디스크가 증발 - 선팅처럼

→ 투과X선량 감소(50%이하)

Disk : W + Re 합금

양은 줄고, 선질은 경해진다

초점외 X선 발생(Off-Focus Ray)

Focus에서 흡수안되고 튕긴전자가 양극에 흡수

Rebound 전자 → 초점에서 먼 곳에서 더 세다

영향 : Contrast 저하

방지 : ①kVp↓ ②콘 깊숙이 ③방사창↓ ④셔터수↑

3극 X선관

양극, 음극 사이에 grid를 넣음(최근에는 격자가 없는 3극관도 만들어지고 있음) : Pulse방식으로 촬영

콘덴서 방전식은 격자전압을 조정해 조사시간을 제한 : On/Off 통전시간 조절

1/1000까지 폭사 가능

2극 X선관에 비해 허용부하는 80%로 제한

관전류 차단 격자 전압은 약 -2000V

장점

①피폭 경감 ②X선관 부하 감소(장시간 촬영가능) ③단시간에 촬영(해상력 상승)

유방용 X선관

유방용 X선관의 특성

High mA, low kVp 필요 (1000mA↑, 30kVp↓)

X선방사구(Window)

Be(베릴륨) 유리 window X

Al당량 0.5mm↑ 여과해야 함 (피폭경감)

Target

Mo(몰리브덴) 텅스텐 target X

20keV이하의 연선 + Mo Filter 이용

대용량 금속X선관

대용량 금속X선관의 특성

유리 대신 금속사용

초점외 X선을 15%이하로 감소

복합양극 : 양극 뒷면에 흑연부착 - 열축적용량 2배

금속 중앙의 장점

접지작용

일정한 전기적 영역 형성 : Spot 방지

수명의 안정성, 사용범위 확대, 고출력 노출횟수 증가

X선관의 구조

고정양극 X선관

회전양극 X선관

진공도 : 10-6~-7mmHg의 고진공상태

Cathode

Glass Bulb : 규산, 붕산의 주성분인 결정의 glass

구비조건 : 절연내력 클 것

고진공도 유지, 가공 용이

X선 흡수 적을 것, 화학적 내성 클 것

기계적 강도 클 것, 열팽창 계수 작을 것

Anode

Cu 양극 끝부분에 W disk

Rotor : 회전자계에 의해 target 회전

회전속도 


f : 고정자 전류주파수 p : 고정자 코일 자극수

Bearing : 금속윤활제(Ag) - 고장이 제일 잘 난다

Cathode

Filament : 가열에 의한 열전자 방출

직경 1~3mm W wire - 초점형성 결정인자

Focusing Cap : 열전자를 target 일정부위에 집속

전자의 확산방지 - 초점형성

전자충돌 궤도면적

2πrd [㎟]

r : 중심-충돌면 중앙선 거리 d : 충돌면 폭

Anode

Target : 초점형성부분

재질 : Pure W

W + Mo : 회전특성, 허용부하↑

W + Re : 초점손상(Spot현상) 방지

구비조건 : Z, 용융점, 증기압, 열·전기전도↑

괴산성 적고, 가공·입수 용이할 것

회전양극 X선관의 특징

장점

열용량 크다

부하량 크다

실초점 크다 : 부하량↑

단점

복잡, 수명 짧음

허용부하(Permissible Load)

순간허용부하

단시간 최대 입력

P[kW] = f × U × I × 10-3

f=1.00 : 관전압 맥동률 10% 이하 - 삼상12피크

f=0.95 : 관전압 맥동률 10 ~ 25% - 삼상6피크

f=0.74 : 관전압 맥동률 25% 이상 - 단상2피크

순간허용부하의 증대

①초점면적 크게

②타겟 각도 작게

③초점 크기 및 직경 크게

④리플 백분율 작게

⑤양극 회전수 증가

최대허용부하 = K

 K:정수 n:회전수 d:타겟지름

⑥동일 mAs시 mA 낮추고 s증가

연속허용부하

P[HU] = f × U × I × t

HU/sec = f × U × I

f=1.00 : 단상전파 정류회로

f=1.35 : 삼상전파 정류회로

f=1.41 : 정전압회로

콘덴서 방전회로

P = 0.7 × C × (U1 - U2)

1HU = 0.71Ws = 0.71J = 0.17cal

혼합허용부하

Spot 촬영 : 투시+촬영+투시+촬영

Angiography

Cine Radiography

집단간접촬영

X선관 Tube Housing

역할

X선관 보호·지지

누설선량 차폐 : 1m에서 적산선량 100mR/hr 이하

접지·절연·냉각

초점외 X선 흡수

절연유 필요조건

절연내력·파괴전압·인화점(130℃이상) 높을 것

점도가 낮을 것

냉각효율 클 것

불순물이 없고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여과(Filtration)

총여과 : 피사체까지의 여과의 총합(고유여과 + 부가여과)

고유여과 : 관체, 절연유, 방사구 등 자체의 X선 흡수

0.5~1mmAl

부가여과 : X선속 내에 인위적 흡수체로 연선 흡수

1~2mmAl

X선 총 여과의 최소치

최고정격관전압

총여과의 최소치

60kVp 미만

1.5mmAl

60~100kVp

2.0mmAl

100kVp 이상

2.5mmAl

고전압발생장치

변압기

단권변압기

가열변압기

고압변압기

승·강압

강압

승압

저압절연

고압절연

고압절연

kVp조절

mA 조절

kVp조절

변압기의 손실

철손 Hysterisis Loss : 교류반복에 따른 열손실

Eddy Current Loss : 부피 큰 철심의 와류손실

↳ 적철심, 권철심 이용해 손실 경감

동손 Copper Loss : 길이에 의한 손실(저항증가)

단권변압기

가장 굵은 코일

장치에 전력공급

전기적 절연X : 절연유로 절연하지 않음

입력측 : 전원전압보상기

출력측 : 부하전류에 이한 전압강하 보상

고압변압기

X선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 공급(열전자에 운동E 부여)

코일이 가장 가늘다

변압기의 법칙 N : 권선수  : 강압  : 승압

교류의 실효값(R.M.S) = 


변압기의 효율 


가열변압기

Filament를 가열시켜 열전자 공급

고압절연

입력측 : 관전류 조절

관전압계

단권변압기 출력측에 삽입(병렬연결)

가동 철편형, kV 최고치 사용

관전류계

고압변압기 2차코일 중성점에 연결(직렬연결)

가동 코일형, mA 평균치 사용

전압안정기(Stabilizer)

가열변압기 1차측

X선관 가열전류를 일정하게 유지

주파수 보상기

전압안정기(Stabilizer) 사용 시 사용

안정기의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

정류회로

단상 자기정류회로(Self Rectification)

X선관 자체가 정류역할 : 정류기X

X선관의 역전압이 반cycle마다 걸림

소용량, 간단, 가볍다, 싸다

흑점 수 6, 최소 조사시간 1/60 sec

관전류 최고치 = 발생전압 × 3

단상 전파정류회로(Single Phase Full-wave Rectification)

흑점 수 12, 최소 조사시간 1/120sec

X선발생이 간헐적(맥동률 47%)

정류기 4개 브릿지형 접속 : Graetz 결선식 회로

누설전류 보정회로가 꼭 필요(고압누설전류 : 2mA정도)

관전류 최고치 : 평균치의 1.5배

삼상전파 정류회로(Three Phase Full Wave Rectification)

3상정류의 특징

대전력 공급용이, 단위시간당 X선 발생량 많음, 순간허용부하 큼, 환자피폭감소

장치가 고가, 설치면적 큼, 복잡 *V : 상전압 a : 권선수

 

6피크

2중 6피크

12피크

2중 12피크

결선방식

△-Y

△-Y-Y

△-Y-△

△-Y-△-△

정류기

6

12

12

24

맥동률

13.4

13.4

3.4

3.4

(+),(-)파형 대칭성

비대칭( )

대칭

비대칭( )

대칭

출력전압

kV= Va

kV=2 Va

kV=1.932 Va

kV=1.932×2 Va

계기용 정류기

필요

불필요

불필요

불필요

콘덴서 방전식 회로(Condenser Discharge Circuit)

간접촬영, 순간촬영 (연속촬영, 단층촬영X)

정류기 2개, Timer X

mAp로 관전류 표시

촬영조건의 재현성 좋음

파미절단방식 : 콘덴서 재충전 빠름, 장파장 피폭 없음

관전압, 관전류 별도조정이 불가능

인버터 방식

주파수로 고전압 발생 : 소형화, 정밀도 높은 제어

정전압 방식

단상전원으로 3상에 가까운 출력

피검자 피폭선량 감소

전원주기에 관계없이 X선 차단

Amorphous(Fe-B-N 비결정 금속변압기) 사용

고압정류회로

 

단상장치

삼상장치

인버터

자기정류

반파정류

전파정류

6P

2중 6P

12P

2중 12P

크기

중간

크다

작다

직선성(재현성)

Bad

Good

Very Good

선질 특성

Bad(연선)

Good

Very Good(경선)

맥동률

100%

13.4%

3.4%

-

고압정류기

X

1~2

4

6

12

12

24

-

X선 허용부하

0.5

0.7

1

1.5

1.5

2.0

2.0

2.0

X선최단조사시간

1/60

1/60

1/120

1/360

1/360

1/720

1/720

1/1000

제어장치


단권변압기 : 장치에 전력공급

정원전압조정기 : 단권변압기 입력측

장치내 전원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

관전압 조정기 : 단권변압기 출력측

임의로 전압 조절(고압변압기의 1차전압조정)

관전압 조정범위 : 40~150kV

일반촬영 : Major/Minor 2개의 tap

연속촬영 : 연동변압기 슬라이어 닥스 사용

관전류 조정기 : 가열변압기 입력측

가열전압 안정화 필요 → 철 공진형 Stabilizer 사용

Stabilizer에 안정된 출력전압 필요 → 주파수 보상기

한시장치(Timer)

고압변압기 입력측에서 X선조사 제어

한시장치

이용

특징

시계식 Timer

스프링

간단, Potable

전동식 Timer

동기전동기

0.05sec

임펄스 Timer

동기전동기

1/120sec

전자관 Timer

T = RC

격자제어방전관

반도체 Timer

T = RC

Thyristor(SCR)

Photo Timer

광전자증배관

간촬 자동노출타이머

전리조 Timer

전리조

직촬 자동노출타이머

변압기의 입/출력측

단권변압기

입력측

전원전압 지시계

전원전압조정기

출력측

관전압 조정기

고전압변압기

입력측

관전압 지시계(병렬·간접)

출력측

관전류 지시계(직렬)

가열변압기

입력측

필라멘트 가열전압안정기

관전류 조정기

공간전하 보상변압기

Switch

주회로 개폐기(Main SW) : 전자개폐기 → SCR

가열 개폐기(Heating SW) : mA Selector

X선 개폐기(Exposure SW) : 주변압기 1차측

전자접촉기(Magnetic SW) : Contactor

과부하 자동차단기(OLR) : 규정이상 전류 흐르면 차단

→ X선관 장치보호, 환자피폭보호

고정자 Interlock : relay coil이 회전하지 않고 정상속도에

이르지 못하면 회로열어 X선 차단

Over Load Interlock : X선부하가 정격 이상이면 차단

mAs 제어

관전류를 적분하여 그 적분치가 미리 설정한 값에 도달하면 X선 조사 정지

특징 ①관전류를 변화해도 조사시간 보충으로 일정한 mAs 얻어짐

②관전류 변화(허용부하 범위내)에도 일정한 사진효과 획득 및 최단시간 조사가능

전원설비

전원설비

주상변압기에서 X선 발생장치에 이르는 설비

전압강하가 10% 이하가 되도록 용량과 인입선 굵기 결정

접지설비

제3종 접지공사 : 접지저항 100Ω 이하

접지점

①고전압 변압기의 출력측 중심점

②고압 Cable 외피

③관용기 외함

④제어장치

주상변압기 용량

X선관 소비전력 = 75kW

필라멘트 가열전력 ≒ 1kW

그 외 전력 ≒ 4kW Total 전력 ≒ 80kW

영상증강장치(Image Intensifier Tube)

원리

X선 → 입력형광면(형광상 형성) → 광전음극면(광전자방출 : 전자밀도영상) → 정전집속렌즈(가속) → 출력형광면(축소영상)

장점 : 피폭선량 감소 ②검사시간 단축 ③X선관 부하량 감소

구조

입력형광면 : 기판 위 CsI 100~200μm 증착

섬유소구조로 농축밀도 3배 높임

광전음극 : 안티몬(Sb)+Cs - 빛을 받아 광전자 방출

방출량∝형광량 고압(음극역할)

정전집속렌즈 : 다수 배열 양전위 전극 - 집속

가속양극

출력형광면 : 광전자가 입사하여 가시광으로 변화

휘도 증가 계수

휘도증가계수 = 


변환계수 = 


축소인자 = 


총 휘도증가계수 = 축소인자 × 유량증가인자

X선 TV System

구성

X선관 - 환자 - 형광증배관 - 수상관 - VTR

원리

투과한 x선을 I.I가 밝은 형광상으로 만들고 이 형광상을 Lens계를 통해 TV camera로 촬영하여 형광상을 전기신호로 바꾸고 이것을 주사(scanning)의 방법으로 분해하여 영상신호를 만들어 TV브라운관에 다시 재현한다.

주사방식

순차주사 : 1번에서 끝번까지 순차적으로 실시

비월주사 : 하나씩 건너띄어 수평주사하고 나중에 주사

유효주사선수

: 525개 주사선 중 32개가 귀선기간에 없어지므로 493개

촬상관

비디콘 : 광도전효과 이용(명암에 따라 전기저항 바뀜)

장점 : 취급용이, SNR↑, 소형, 저렴, 장수명

단점 : 낮은 강도, 해상도↓, 잔상

오디콘 : 회귀신호 이용

장점 : 감도↑, 해상도↑

단점 : 회로가 복잡, 취급 어려움, 부피 큼

플럼비콘

장점 : 대조도↑, 움직임에 의한 영상 끌림 방지

단점 : 반점 발생률↑, 단수명

CCD(Charge Coupled Device)

MOS구조의 콘덴서가 연속해서 나열된 구조

촬상관과 비교

장점 : 소형, 전력소모 적음, 수명단축 없음

회부의 빛/온도 변화에 영향 적음

블루밍현상 적음, 중심과 가장자리 해상도차↓

단점 : 엘리어싱, gain을 높이면 노이즈 큼

밝은 피사체에 수직 스미어 현상

동적화면의 왜곡, 대각선상 스테핑효과

DSA(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Scout → Mask View(Scout반전) → Angiogram

→Subtraction Angiogram(Mask + Angio)

소초점, 대용량 요구, 3상12피크 테트로드 or 인버터

시간차분법

순차촬상법 : 실시간으로 감영상 묘출

연속촬상법 : 1초에 최대 30매 영상

X선관 부하 및 피폭이 큰 단점

변화량촬상법 : 심실조영 경색구역 판단

에너지차분법

K흡수단차분법 : 조영제 흡수단 이용

비흡수단차분법 : 저E와 고E의 투과율 차분 이용

하이브리드차분법 : 시간차분법+에너지차분법

가장 좋음, 장내가스에 의한 motion artifact제거

CR(Image Plate방식)

고감도, 고선예도, 광범위한 관용도

광휘진성 발광(최초 자극 정보가 형광체에 축적)

레이저빔 : 635nm 적색 He-Ne 레이저빔 이용

형광체 : BaFBr:Eu2+, BaFCl:Eu2+, BaFI:Eu2+

장점 : 피폭선량 경감, 진단정보 풍부,

영상정보처리에 의한 새로운 진단법 개발

영상정보를 디지털화해서 보관, 검색, 통신가능

X선 발생장치의 고장

X선관

Glow 발생 : 제작 시 배기불량, 과부하에 의한 gas 발생

․ mA계가 끝까지 흔들림

․ 전원 전압계, 1차 전압계 저하

․ X선관에서 녹색 형광이 발생

․ X선관 filament를 꺼도 이 현상이 일어남

X선관 filament의 단선 : 과부하에 의해 발생

․ 고전압을 가하여도 X선을 발생치 않는다.

․ 가열 전압계의 진동이 정상보다 커짐(최대치 지시)

가열 전압계의 조정기를 가동하여도 진동이 변치 않음

․ 관전류계가 지시하지 않는다

Target의 요철, 용융 : 과부하에 의해 발생

․ 동일 관전압, 관전류에서 선량율 저하

․ gas가 발생되어 glow 발생

정류관

Glow 발생 : 정류작용의 상실

․ mA계의 진동이 끝까지 가버림(최대치 지시)

전원전압계와 1차 전압계가 현저히 감소(전압강하가 생김)

․ 정류관에서 녹색형광 발생

filament 가열 부족

․ 정류관 전압강하가 커짐

․ 정류관의 양극온도가 상승(glow 발생원인)

․ 정류관에서 X선 발생

․ X선관의 관전압이 감소(사진농도 저하)

filament 단선

․ 전파정류에서 정류관 filament가 1개 단선된 경우

반파정류와 같음(mA계는 1/2지시, 선량률이 1/2)

정류기의 불량 : 정류 작용 상실

고압 변압기

변압기 2차측 절연 불량, 절연 파괴

․ mA계의 진동이 커짐(최대치 지시)

․ 전원 전압계와 1차 전압계의 이상 강하

․ fuse가 끊어짐

․ circuit breaker 동작

1,2차 coil의 손상 및 단선

․ 고압이 발생하지 않고, X선도 발생되지 않음

가열 변압기(X선관, 정류관)

․ 절연 불량과 절연파괴

- mA계의 진동이 커짐(최대치 지시)

․ coil의 단선

- filament의 점화가 안됨(X선이 발생되지 않음)

고압 cable

․ cable head의 절연불량과 절연 파괴

- mA계의 진동이 커짐(최대치 지시)

 

반응형

'병원 >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촬영 흉부, 복부 및 척추  (1) 2017.07.06
일반 촬영 -두경부-  (0) 2017.06.22
Angio (중재적 시술 ,혈관 조영술)  (2) 2017.06.21
방사선 사진학  (2) 2017.06.13
MRI  (4) 2017.06.06
방사선 계측학  (1) 2017.05.13
방사선 치료학  (5) 2017.05.10
CT  (5) 2017.05.01


MRI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6. 19:59 병원/국가고시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오늘은 방사선사 국가 고시 중 난이도가 매우 상인 MRI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MRI는 '책을 지은 지은이들도 책의 전부를 알지 못한다' 라고 말할정도로 어려운 항목입니다. 따라서 학교에서 배우는 기본적인 내용 + 임상에서 쓰이는 첨단 기술을 잘 알아야 그나마 조금 이해가 되지 않을 까 합니다.


따라서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수업 시간에서 배우는 것과 문제집 그리고 요약본 이렇게 3가지 다 알고 계셔야 국가고시 준비에 어느정도 했다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자기공명영상학

2교시 <영상진단기술학> 6문항 / 3교시 <방사선 실기> 3문항

 

MRI

MRI에 이용되는 원자? : 1H 13C 23Na 31P

MRI의 에너지원? : 자장(Magnetic Filed) & 라디오파(RF)

Lamor 방정식

ω。= ϓ × B。

ω。: 세차주파수 [MHz] 공명을 위한 주파수

ϓ : 자기회전비 [MHz/T] H : 42.6 MHz/T

B。: 외주자장세기 [T] 1T = 10000G

※지구의 자장 : 0.5G

RF의 공명으로 일어나는 변화

1. 여기 : E가 낮은쪽에서 E가 높은쪽으로 이동

2. out-of-phase → in phase

3. 순자화의 변화 : longitudinal → transverse

RF를 끊으면? 여기 →평형(relaxation)→MR신호 방출

T1 relaxation(recovery, growth)

종축자화 성장/회복(횡축자화 감소)

Longitudinal / Spin-Lattice relaxation

T1 time? 63% 회복시간

물 - 근육 - 회백질 - 백질 - 지방

T2 relaxation(decay)

in phase → dephase

Transverse / Spin-Spin relaxation

T2 time? 37% dephase 시간

근육 - 지방 = 백질 - 회백질 - 물

★T1 time > T2 time T1WI의 TR, TE < T2WI의 TR, TE →TR, TE가 긴 것 뿐

자유유도감쇄(FID) : relaxation하는 MR신호의 형태, RF신호의 한 형태, 지수함수적 감쇄

TR & TE

TR : RF pulse 사이의 시간

TE : RF부터 echo까지의 시간

TR이 짧을수록? → T1 강조(T2와는 관련없다)

TE가 길수록? → T2 강조(T1과는 관련없다)

TR

 

poor

image

T2WI

 

T1WI

Proton

Density

 

 

TE

Dephasing의 원인

T2 relaxation모을 수 없다

Magnetic filed Inhomogeneity RF(180°)로 모음Relaxation Time

Chemical ShiftRF(180°)로 모음T1 > T2 > T2*

Gradient Echo동일크기 극성반대로 모음

※T2*? : only gradient에 의한 신호 (180°RF rephasing X)

Gradient : 영상의 x, y, z축 구분을 위한 자장의 경사(자장 불균일)

z - slice selection → 횡단면

y - phase cording→ 관상면

x - frequency, read out→ 시상면

G의 목적?

Slice Selection

선택된 slice에 존재하는 pixel의 위치정보

※Matrix : Phase × Frequency

Image Parameter

 

 

SNR

Resolution

Scan Time

Scan Time(2D) = TR × Matrix(P) × Avg(NEX)

Scan Time(3D) = TR × Matrix(P) × Avg(NEX) × Slice 수

Pixel Size = FOV ÷ Matrix

Pixel↓ = Resolution↑

FOV : FOV가 커지면 영상이 작아짐

NEX : 동일부위 영상신호 반복 NEX 2배 → SNR

RBW : 주파수 수신범위 RBW↑→Noise↑→SNR↓

RBW 1/2배 → SNR

FOV

-

Matrix

p : ↑

Thickness

-

Avg(NEX)

-

TR

-

TE

-

-

Flip Angle

-

-

Receive BW

-

-

Duty Cycle : Gradient "On" time

Receive Band Width : RBW = 1 / ⊿t⊿t : sampling point → frequancy 수 만큼 존재

 

 

3

2

1

 

 

1 : Max Gradient Amplitude → R과 관계(높을수록 FOV작게, Thickness 얇게)

2 : rise time

3 : slew rate = MGA / rise time

 

 

G(f)

 

K-Space

영상의 정보를 가진 공간 (raw data의 집합체)

K-Space

 

중앙값 - Contrast와 SNR 정보

가장자리값 - Detail이나 Resolution 정보

K-Space --Fourier Transform-> Image

※Fourier Transform? : Time Domain → Frequency Domain

Pulse Sequence

Spin Echo Image

90°-180°-echo

T1WI, T2WI, PD

TR, TE로 조절

Gradient Echo Image

Flip Angle(<90°)-echo

T1WI, T2*WI, PD

TR, TE, FA로 조절 (FA↑: T1WI, FA↓ : T2*WI)

Maximum Slice = TR / TE+option

Inversion Recovery : 180-90-180° RF, TR, TE, TI로 조절

SE보다 T1 더 강조 : scan time은 길지만 contrast가 좋다FLAIR 영상 구별? → 물만 검정인 T2

특정조직 신호억제(nulling point) T1 : CSF - 회백질 - 백질 - 지방

STIR : 지방소거 → TI↓FLAIR : CSF,지방 - 백질 - 회백질

FLAIR : 물소거 → TI↑ Black <----------------> White

Multi Echo : 한번의 phase에 180°RF를 여러번 줌으로서 다양한 영상획득

FSE(Fast Spin Echo or Turbo Spin Echo)

Multi echo 방식에서 매 180°마다 다른 G(p)를 걸어준다

ETL(echo train length) : multi echo 사이에 걸린 G(p)의 수

Scan Time = TR × Matrix(P) × Avg(NEX) / ETL

ETL↑ → Scan time↓ → T2 blurring↑

※동일한 parameter에서 영상의 질 : SE > FSE 단, 줄어든 scan time을 이용해 NEX, Matrix를 변경시켜 질 향상

FSE에서는 지방이 검게 보이지 않는다

 

SSFSE(Single Shot FSE) : ETL을 phase 수만큼 늘여 한번에 촬영 → TR이 없다(T1WI X)

HASTE(Half fourier Accuisition Single shot Turbo Echo) : K-space 절반만 채우고 나머진 재구성

EPI(Echo Planar Imaging)

초고속 scan(1TR에 경사자장 고속진동)

Functional MR, Diffusion, Perfusion을 위한 시퀀스

자장불균일성, 화학적천이에 민감

EPI를 위한 구비조건

강한 Gradient

높은 slew rate (빠른 rise time을 위해)

고속 수신장치

고 RAM

Pulse Sequence 비교

scan time? EPI < FSE < GE < SE

자장불균일성, 화학천이에 민감?

EPI > GE > SE > FSE

Metal Artifact 최다? - EPI

Metal Artifact 최소? - FSE

MRA

MRA(MR angio) → only GE

MRA의 대상 : Flow - artery, vein, CSF

Flow의 종류 : Lamina flow(층류)-중소혈관, plug flow(용적류)-대혈관, turbulent flow - 협착형 혈관

MRA의 종류 : TOF, PC, CE-MRA

TOF(Time Of Flight)

Flow Related Enhancement

혈류속도가 빠른 것 → arteryScan Time : TOF < PC

혈류방향과 수직단면만 획득가능

slice 두께가 얇을수록 angio 용이

PC(Phase Contrast)

Phase Shift

미세한 움직임도 감지 → vein

최소 두 번의 scan 필요 → scan time증가 ∴ x, y, z축 모두 하면 6번

혈류의 방향성을 알 수 있음

bipolar를 크게 걸면 위상체가 크므로 혈류속도 측정가능 => VENC(velocity encording = flow analysing)

CE-MRA(Contrast Enhanced MRA)

T1 Shortening → delay time을 알아야한다

복부, 흉부, 사지, carotid artery에 이용

MR Contrast Media

Paramagnet 이용 - Gd, Mn, Dy

B.B.B → 정상조직에는 조영제가 차단, 병소에 조영

상에도 조영제가 들어가는 곳

pituitary gland(뇌하수체)-> dynamic study

choroid plexus(맥락총)

meinge(뇌막)

falx(대뇌겸)

mucos(점막)

T1조영제 : para magnet → 병소에 들어가 하얗게(T1 time↓)

T2조영제 : SPIO(super para ion oxyde) → 병소에 들어가 검게




Artifact : MR artifact는 대부분 phase방향

Motion Artifact

수의적 움직임

불수의적 움직임

Sedation, 환자주의

EKG / peripheral / respiration gating

 

Wrap Around

(Aliasing,

Ford Over)

작은 FOV

FOV↑

saturation

swap

oversampling(software적으로 처리)

frequency 방향으로는 자동으로 oversampling

Chemical Shift Artifact

지방<물 3.5ppm

(1.5T에서 224Hz)

자장↓

RBW↑

fat suppression (ex. STIR)

frequency방향으로 artifact 발생

주로 orbit, kidney

Magnetic Susceptibility

강자성체

GE 보다는 SE사용

FSE사용

Metal Artifact

Zipper Artifact

외부 RF 유입

RF shielding(Cu)

검사실 문을 닫고 검사하는이유

Cross Talk Artifact

slice 간 간격이 좁다

slice 간 10%이상 간격

 

Truncation Artifact

Matrix가 작아서 발생

Matrix size 크게

 

Coil

자석의 종류

영구자석(permanent) : open type - 유지비싸다 - 0.3T이하

상전도자석(resistive) - 사용이 편리 - 유지비↑

초전도자석(superconductive) : 0K에서 저항0- 자장이 세다(SNR↑) - 주기적 보충필요(액체He) - Quench

Coil

Main Magnet : 자장형성 - 초전도자석

- Li.He (4K)으로 쌓여 냉각, 초전도 유지

Shim Coil : 자장을 균일하게

Gradient Coil : x(f) y(p) z(s)

RF Coil : RF transmit / RF reciever(surface coil)

※순서 : 환자 → RF coil → Gradient coil → Shim coil

→ Main Magnet (→ Li.He)

MRS

MRS(MR Spectroscopy) : 인체내 metabolism 측정

MRS과정 : Shimming - 측정 voxel을 자장이 균일하게 해주는 SW처리

Water Saturation

MRS분석 : NAA - 뉴런에 비례해 증가 2.02ppm→ 뇌경색이면 감소

Cr - 기준점 → 3.03ppm

Cho - 세포막합성에 관여 → 3.13ppm→ 종양이면 상승

FMR

Diffusion MR(확산): acute Stroke 시 반드시 촬영 → 물분자의 움직임이 둔화되는 것을 이용

Perfusion MR(관류): 혈류량 관찰동일부위 연속촬영 중에 조영제 주입

Fuctional MR: 생물학적기능 검사→ 기능에 따른 혈액의 유동 감지

※ diffusion, perfusion, F-MR의 sequence? → EPI

Shield

Shield

철판 : 외부로의 자장영향 차단5G 이상 누설되면 안됨

구리 : 내부로의 라디오파 차단 → zipper artifact 방지

Active Shield : 반대 자석으로 상쇄

Positive Shield : 철판으로 (wall or self)

SAR(Specific Absorption Rate)

Magnetic Field : 무해

Radio Frequency : RF의 상승 → 파장↓ → 체온상승 (위해가능성)

Gradient Fiild : 말초신경 자극 가능성

※참고

반월판(meniscus) : T1, T2 모두 검게(저신호)

고관절 무혈성괴사(AVN, avascular necrosis) : 저신호

동정맥기형(AVM) : MR로 확진 가능

heavily T2WI : 간세포암(hepatoma)과 간혈관종(Hemangioma)의 구분이 가능

NMR 최초발견 : Bloch최초의 MRI : Damadian

반응형

'병원 >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촬영 -두경부-  (0) 2017.06.22
Angio (중재적 시술 ,혈관 조영술)  (2) 2017.06.21
방사선 사진학  (2) 2017.06.13
방사선 기기학  (3) 2017.06.07
방사선 계측학  (1) 2017.05.13
방사선 치료학  (5) 2017.05.10
CT  (5) 2017.05.01
방사선 이론 의료법  (0) 2017.04.01


아들도 못알아보는 치매 자가 진단 및 예방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4. 19:14 병원/의학 상식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저번에 이어서 치매와 관련된 포스팅을 하려고 합니다.


요즘 문재인 정부에서 치매 관련된 정책을 발표해서 치매에 대해 관심이 많은데 좀 더 많은 정책으로 치매로 고통 받는 가정이 조금이나마 줄었으면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내가 혹시 치매인지 알 수 있는 자가 진단 및 테스트 그리고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치매 진단


초기 : 가족이나 동료들이 환자의 문제를 알아차리기 시작하나 아직은 혼자서 지낼 수 있는 수준


01. 최근 기억의 감퇴 가 시작된다. 최근에 있었던 일을 자주 잊어버린다.

02. 음식을 조리하다가 불 끄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빈번해 진다.

03. 미리 적어 두지 않으면 중요한 약속을 잊어버린다.

04. 조금 전에 했던 말을 반복하거나 질문을 되풀이 한다.

05. 대화 중 정확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아 '그것', '저것' 으로 표현하거나 머뭇거린다.

06. 관심과 의욕이 없고 매사에 귀찮아한다.


중기 : 치매임을 쉽게 할 수 있는 단계로 어느 정도의 도움 없이는 혼자 지낼 수 없는 수준


01. 돈 계산이 서툴러지고, 전화, TV, 등 가전제품을 조작하지 못한다.

02. 평소 잘 알고 지내던 사람을 혼동하기 시작하지만 대부분 가족은 알아본다.

03. 대답을 못하고 머뭇거리거나 화를 내기도 한다.

04. 사람들의 말을 이해하지 못해 엉뚱한 대답을 하거나 그저 "예"라고 대답한다.

05. 익숙한 장소임에도 불구하고 길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06. 옷을 입거나 외모 치장에 실수가 잦아져 도움이 필요하며 외출 시에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다.

07. 집안을 계속 배회하거나 반복적인 행동을 거듭한다.




말기 : 인지기능이 현저히 저하되고 정신행동 증상과 신경학적 증상 및 기타 신체적 합병증 등이 동반되어 독립적인 생활이 거의 불가능한 수준


01. 식사, 옷 입기, 세수하기, 대소변 가리기 등에 대해 완전히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02. 대부분의 기억을 상실하여 배우자나 자식을 알아보지 못한다.

03. 혼자 웅얼거리거나 전혀 말을 하지 못하고, 의미 있는 판단을 내릴 수 없으며, 간단한 지시도 따르지 못한다.

04. 근육이 굳어지고 보행장애가 나타나 거동이 힘들어진다.

05. 대소변 실금, 욕창, 폐렴, 요도감염, 낙상 등이 나타난다.





치매 자가진단 테스트


건망증이 생겼거나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인지했다면 즉시 신경과나 정신건강의학과의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치매를 조기에 발견하면 약물치료, 인지기능 회복훈련 등으로 병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자가 진단 테스트 리스트  아니다 : 0점, 가끔 : 1점, 자주 : 2점


 

 

아니다 

가끔

자주 

 01

오늘이 몇 월이고, 무슨 요일인지 잘 모른다.

 

 

 

 02

자기가 놔둔 물건을 찾지 못한다.

 

 

 

 03

같은 질문을 반복해서 한다.

 

 

 

 04

약속을 하고서 잊어버린다.

 

 

 

 05

물건을 가지러 갔다가 잊어버리고 그냥 온다.

 

 

 

 06

물건이나 사람의 이름을 대기가 힘들어 머뭇거린다.

 

 

 

 07

대화 중 내용이 이해되지 않아 반복해서 물어본다.

 

 

 

 08

길을 잃거나 해맨 적이 있다.

 

 

 

 09

예전에 비해서 계산 능력이 떨어졌다.

(물건 값이나 거스름돈 계산을 못한다)

 

 

 

 10

예전에 비해 성격이 변했다.

 

 

 

 11

이전에 잘 다루던 기구의 사용이 서툴러졌다.

(세탁기,전기밥솥,경운기 등)

 

 

 

 12

예전에 비해 방이나 집안의 정리정돈을 하지 못한다.

 

 

 

 13

상황에 맞게 스스로 옷을 선택하여 입지 못한다.

 

 

 

 14

혼자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여 목적지에 가기 힘들다.

 

 

 

 15

내복이나 옷이 더러워져도 갈아입지 않으려고 한다.

 

 

 


 *7점 이상이면 치매를 의심할 수 있음


치매 예방법


3권 즐길것


운동: 일주일에 3번 이상 걸으세요

식사: 생선과 채소를 골고루 챙겨드세요

독서: 부지런히 읽고 쓰세요


3금 참을것


절주: 술은 한 번에 3잔보다 적게 마시세요

금연: 담배는 피우지 마세요

뇌손상 예방: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조심하세요


3행 챙길 것


건강검진: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3가지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세요

소통: 가족과 친구에게 자주 연락하고 자주 만나세요

치매: 조기발견 매년 보건소에서 치매 조기검진을 받으세요



치매 예방에 좋은 음식 재료


연어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연어: 연어의 붉은 색 성분인 아스사잔틴은 유해 활성산소를 억제하고, DHA는 뇌 속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치매 예방에 효능을 발휘한다.


토마토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토마토: 토마토에 들어 있는 비타민 K가 칼슘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 혈관성 치매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견과류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베리,견과류: 견과류에는 오메가 3 지방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이런 성분이 두뇌 기능을 유지하는 데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리브유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올리브유: 올리브유에는 뇌세포의 신경세포막을 구성하는 물질이 있어 세포 간의 신호전달과정에서 유익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두부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두부: 두부에 들어 있는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의 소화 흡수율은 높고 콜레스테롤이 없어 동맥경화나 고지혈증에 도움을 주며, 레시틴은 혈관성 치매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오늘은 치매 자가진단 및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클릭 및 공감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맛있는 설탕과 무서운 치매의 연관성

Posted by 건설소장
2017. 6. 3. 13:06 병원/의학 상식
반응형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오늘은 요즘 핫 이슈인 치매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치매는 아직까지 특별히 원인이 규명되지 않아서 예방이 어려운 질환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설탕섭취가 치매와 연관이 있다는 연구가 있어서 공유하고자 이렇게 글을 적어봅니다.


우리나라 80세 이상 노인의 4명 중 1명이 앓고 있다는 치매, 60세 이후 5년이 지날 때마다 치매 발볍 위험은 2배씩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매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전체 치매 환자 중 약 75%는 알츠하이머성 치매이며, 이밖에도 혈관성 치매, 알코올성, 외상성 치매 등이 있습니다.


* 알츠하이머성 치매란 전반적으로 뇌가 위축되어 신경세포가 현저히 감소하는 상태입니다.


* 혈관성 치매란 동맥경화 또는 혈전으로 뇌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뇌손상 발생이 일어난 상태입니다.




이 중 혈관성 치매는 뇌 혈액 순환 장애 장애로 발생됩니다.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 대사성 질환, 우울증, 운동 부족,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혈관 내 지방이 쌍이거나 좁아질 경우 뇌 조직이 점차 손상돼 치매를 유발하는 것입니다. 또한, 당을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비만 뿐만 아니라 뇌손상을 불러옵니다. 뇌가 사용하는 기본적인 에너지원은 포도당인데, 과도한 당분 섭취는 기억력의 중추인 해마를 위축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포도당의 혈중 수치가 높은 사람은 정상인 사람에 비해 해마의 크기가 작아 기억력이 떨어진다는 것, 단 맛에 끌려 군것질을 자주 한다면 뇌 손상은 가중되고, 이에 따라 치매 위험도 높아지게 됩니다.


치매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음주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음주 2.6배


흡연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흡연 1.6배  


뇌손상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뇌 손상 2.1배

우울증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우울증 1.7배 

고혈압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고혈압 1.6배


당뇨병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당뇨병 1.6배


비만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비만 1.6배


운동부족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운동부족 1.6배


오늘은 치매와 설탕의 연관성과 치매 위험성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치매 자가진단 및 치매 예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클릭 및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