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기기학
안녕하세요 아들 둘 키우는 아빠 건설소장입니다. 오늘은 방사선 기기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쉽게 말해서 x-ray 나오는 장비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이 되겠습니다.
임상에서 장비 들어 올 때 그리고 QC 할 때 많이 사용되어 집니다.
임상과 이론이 크게 차이가 없어서 이론으로 공부 하시면 크게 무리가 없을 거라고 생각되어 집니다.
방사선 기기학
2교시 <방사선 응용> 10문항
X선 | |
열전자 리차드슨 공식 열전자 방출 ∝ 온도의 제곱 | |
2극관 정류관 : 한쪽으로만 흐른다 초속도영역 : 전압이 없어도 전류가 흐르는 영역 공간전하영역 : 0~40kV kV를 올리면 mA도 오른다 진단용 tube : 40kV↑ (포화영역) → mA와 kV를 독립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공간전하수 : filament의 온도에만 좌우 | <2극관 특성그래프> |
공간전하효과(Schottky Effect) 포화영역에서 kVp가 높으면 약간 전류 상승 | 공간전하보상회로 공간전하효과 보상 : 위상반전 콘덴서 이용 |
Duane-Hunt's Law [Å] | X선발생강도 & 발생효율 발생강도 = 발생효율 k : 1.1 × 10-9 |
X선발생의 필요조건 ① 자유전자 공급 - mA관련 ③ 저지물(Target) - 텅스텐(Z↑) |
② 고속도 운동에너지 - 고압변압기 ④ 고진공도 유지 - 10-5~-7(2차전자생성X) |
X선 발생장치의 기본 | |
진단용 X선발생장치의 구성 : ①X선관장치 ②고전압발생장치 ③제어장치 | |
X선장치의 정격 R : 촬영 F : 투시 D : 치과 T : 3상 C : 콘덴서식 I : 인버터식 H : half - X선발생기 형식 | |
RF-500-100 단상 촬영/투시용 공칭 최대 관전류 : 500mA 공칭 최고 관전압 : 100kV 단, 100kV 500mA는 안됨 | CR-1-125 콘덴서식 촬영용 공칭 촬영용 콘덴서 용량 : 1μF -μF 공칭 최고 관전압 : 125kV |
HRF-70-P X선발생기 촬영/투시용 단시간 최고정격관전압 : 70kV 점화방식 : P - 선점화방식 S - 동시점화방식 | 정격 장시간정격 : 투시용 - 4mA를 넘을 수 없음(∵피폭) 단시간정격 : 촬영용 |
초점 | |
실초점 실제 타겟에서 초점의 면적 실초점이 클수록 좋음 : 타겟수명연장 | 실효초점 상의 형성에 관여 : 작을수록 좋다(반음영 감소) 실효초점 = 실초점 × sinθ |
진단영역의 Anode 경사 10~18° Anode 경사각↓ : Sharpness↑, Useful Beam↓ Anode 경사각↑ : Sharpness↓, Useful Beam↑ | 초점의 크기 필라맨트 깊이↑ : 정초점↓, 부초점↑ 음극(필라맨트)직경↑ : 정초점↑, 부초점↓ kVp↑ : 초점↓ mA↑ : 초점↑ |
공칭초점(NEMA) kVp, mA를 정해서 초점의 크기를 정함 | 등가초점(Homogeneous Intensity Distribution) 특정강도분포를 지닌 균등강도의 분포의 초점크기 |
초점의 흠집과 그 영향 Spot형성 : 필라멘트와 디스크가 증발 - 선팅처럼 → 투과X선량 감소(50%이하) Disk : W + Re 합금 양은 줄고, 선질은 경해진다 | 초점외 X선 발생(Off-Focus Ray) Focus에서 흡수안되고 튕긴전자가 양극에 흡수 Rebound 전자 → 초점에서 먼 곳에서 더 세다 영향 : Contrast 저하 방지 : ①kVp↓ ②콘 깊숙이 ③방사창↓ ④셔터수↑ |
3극 X선관 |
양극, 음극 사이에 grid를 넣음(최근에는 격자가 없는 3극관도 만들어지고 있음) : Pulse방식으로 촬영 콘덴서 방전식은 격자전압을 조정해 조사시간을 제한 : On/Off 통전시간 조절 1/1000까지 폭사 가능 2극 X선관에 비해 허용부하는 80%로 제한 관전류 차단 격자 전압은 약 -2000V |
장점 ①피폭 경감 ②X선관 부하 감소(장시간 촬영가능) ③단시간에 촬영(해상력 상승) |
유방용 X선관 | |
유방용 X선관의 특성 High mA, low kVp 필요 (1000mA↑, 30kVp↓) | |
X선방사구(Window) Be(베릴륨) 유리 window X Al당량 0.5mm↑ 여과해야 함 (피폭경감) | Target Mo(몰리브덴) 텅스텐 target X 20keV이하의 연선 + Mo Filter 이용 |
대용량 금속X선관 | |
대용량 금속X선관의 특성 유리 대신 금속사용 초점외 X선을 15%이하로 감소 복합양극 : 양극 뒷면에 흑연부착 - 열축적용량 2배 | 금속 중앙의 장점 접지작용 일정한 전기적 영역 형성 : Spot 방지 수명의 안정성, 사용범위 확대, 고출력 노출횟수 증가 |
X선관의 구조 | |
고정양극 X선관 | 회전양극 X선관 |
진공도 : 10-6~-7mmHg의 고진공상태 | Cathode |
Glass Bulb : 규산, 붕산의 주성분인 결정의 glass 구비조건 : 절연내력 클 것 고진공도 유지, 가공 용이 X선 흡수 적을 것, 화학적 내성 클 것 기계적 강도 클 것, 열팽창 계수 작을 것 | Anode Cu 양극 끝부분에 W disk Rotor : 회전자계에 의해 target 회전 회전속도 f : 고정자 전류주파수 p : 고정자 코일 자극수 Bearing : 금속윤활제(Ag) - 고장이 제일 잘 난다 |
Cathode Filament : 가열에 의한 열전자 방출 직경 1~3mm W wire - 초점형성 결정인자 Focusing Cap : 열전자를 target 일정부위에 집속 전자의 확산방지 - 초점형성 | |
전자충돌 궤도면적 2πrd [㎟] r : 중심-충돌면 중앙선 거리 d : 충돌면 폭 | |
Anode Target : 초점형성부분 재질 : Pure W W + Mo : 회전특성, 허용부하↑ W + Re : 초점손상(Spot현상) 방지 구비조건 : Z, 용융점, 증기압, 열·전기전도↑ 괴산성 적고, 가공·입수 용이할 것 | |
회전양극 X선관의 특징 장점 열용량 크다 부하량 크다 실초점 크다 : 부하량↑ 단점 복잡, 수명 짧음 |
허용부하(Permissible Load) | |
순간허용부하 단시간 최대 입력 P[kW] = f × U × I × 10-3 f=1.00 : 관전압 맥동률 10% 이하 - 삼상12피크 f=0.95 : 관전압 맥동률 10 ~ 25% - 삼상6피크 f=0.74 : 관전압 맥동률 25% 이상 - 단상2피크 순간허용부하의 증대 ①초점면적 크게 ②타겟 각도 작게 ③초점 크기 및 직경 크게 ④리플 백분율 작게 ⑤양극 회전수 증가 최대허용부하 = K K:정수 n:회전수 d:타겟지름 ⑥동일 mAs시 mA 낮추고 s증가 | 연속허용부하 P[HU] = f × U × I × t HU/sec = f × U × I f=1.00 : 단상전파 정류회로 f=1.35 : 삼상전파 정류회로 f=1.41 : 정전압회로 콘덴서 방전회로 P = 0.7 × C × (U1 - U2) 1HU = 0.71Ws = 0.71J = 0.17cal |
혼합허용부하 Spot 촬영 : 투시+촬영+투시+촬영 Angiography Cine Radiography 집단간접촬영 |
X선관 Tube Housing | |
역할 X선관 보호·지지 누설선량 차폐 : 1m에서 적산선량 100mR/hr 이하 접지·절연·냉각 초점외 X선 흡수 | 절연유 필요조건 절연내력·파괴전압·인화점(130℃이상) 높을 것 점도가 낮을 것 냉각효율 클 것 불순물이 없고 화학적으로 안정할 것 |
여과(Filtration) | |||||||||
총여과 : 피사체까지의 여과의 총합(고유여과 + 부가여과) 고유여과 : 관체, 절연유, 방사구 등 자체의 X선 흡수 0.5~1mmAl 부가여과 : X선속 내에 인위적 흡수체로 연선 흡수 1~2mmAl | X선 총 여과의 최소치
|
고전압발생장치 | |||||||||||||
변압기
| 변압기의 손실 철손 Hysterisis Loss : 교류반복에 따른 열손실 Eddy Current Loss : 부피 큰 철심의 와류손실 ↳ 적철심, 권철심 이용해 손실 경감 동손 Copper Loss : 길이에 의한 손실(저항증가) | ||||||||||||
단권변압기 가장 굵은 코일 장치에 전력공급 전기적 절연X : 절연유로 절연하지 않음 입력측 : 전원전압보상기 출력측 : 부하전류에 이한 전압강하 보상 | 고압변압기 X선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 공급(열전자에 운동E 부여) 코일이 가장 가늘다 변압기의 법칙 N : 권선수 : 강압 : 승압 교류의 실효값(R.M.S) = 변압기의 효율 | ||||||||||||
가열변압기 Filament를 가열시켜 열전자 공급 고압절연 입력측 : 관전류 조절 | |||||||||||||
관전압계 단권변압기 출력측에 삽입(병렬연결) 가동 철편형, kV 최고치 사용 | 관전류계 고압변압기 2차코일 중성점에 연결(직렬연결) 가동 코일형, mA 평균치 사용 | ||||||||||||
전압안정기(Stabilizer) 가열변압기 1차측 X선관 가열전류를 일정하게 유지 | 주파수 보상기 전압안정기(Stabilizer) 사용 시 사용 안정기의 출력전압을 일정하게 유지 |
정류회로 | ||||||||||||||||||||||||||||||||||||||||||||||||||||||||||||||||||||||||||||||||
단상 자기정류회로(Self Rectification) X선관 자체가 정류역할 : 정류기X X선관의 역전압이 반cycle마다 걸림 소용량, 간단, 가볍다, 싸다 흑점 수 6, 최소 조사시간 1/60 sec 관전류 최고치 = 발생전압 × 3 | 단상 전파정류회로(Single Phase Full-wave Rectification) 흑점 수 12, 최소 조사시간 1/120sec X선발생이 간헐적(맥동률 47%) 정류기 4개 브릿지형 접속 : Graetz 결선식 회로 누설전류 보정회로가 꼭 필요(고압누설전류 : 2mA정도) 관전류 최고치 : 평균치의 1.5배 | |||||||||||||||||||||||||||||||||||||||||||||||||||||||||||||||||||||||||||||||
삼상전파 정류회로(Three Phase Full Wave Rectification) 3상정류의 특징 대전력 공급용이, 단위시간당 X선 발생량 많음, 순간허용부하 큼, 환자피폭감소 장치가 고가, 설치면적 큼, 복잡 *V : 상전압 a : 권선수
| ||||||||||||||||||||||||||||||||||||||||||||||||||||||||||||||||||||||||||||||||
콘덴서 방전식 회로(Condenser Discharge Circuit) 간접촬영, 순간촬영 (연속촬영, 단층촬영X) 정류기 2개, Timer X mAp로 관전류 표시 촬영조건의 재현성 좋음 파미절단방식 : 콘덴서 재충전 빠름, 장파장 피폭 없음 관전압, 관전류 별도조정이 불가능 | 인버터 방식 주파수로 고전압 발생 : 소형화, 정밀도 높은 제어 정전압 방식 단상전원으로 3상에 가까운 출력 피검자 피폭선량 감소 전원주기에 관계없이 X선 차단 Amorphous(Fe-B-N 비결정 금속변압기) 사용 | |||||||||||||||||||||||||||||||||||||||||||||||||||||||||||||||||||||||||||||||
고압정류회로
|
제어장치 | |||||||||||||||||||||||||
단권변압기 : 장치에 전력공급 정원전압조정기 : 단권변압기 입력측 장치내 전원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 관전압 조정기 : 단권변압기 출력측 임의로 전압 조절(고압변압기의 1차전압조정) 관전압 조정범위 : 40~150kV 일반촬영 : Major/Minor 2개의 tap 연속촬영 : 연동변압기 슬라이어 닥스 사용 관전류 조정기 : 가열변압기 입력측 가열전압 안정화 필요 → 철 공진형 Stabilizer 사용 Stabilizer에 안정된 출력전압 필요 → 주파수 보상기 | 한시장치(Timer) 고압변압기 입력측에서 X선조사 제어
| ||||||||||||||||||||||||
변압기의 입/출력측
| Switch 주회로 개폐기(Main SW) : 전자개폐기 → SCR 가열 개폐기(Heating SW) : mA Selector X선 개폐기(Exposure SW) : 주변압기 1차측 전자접촉기(Magnetic SW) : Contactor 과부하 자동차단기(OLR) : 규정이상 전류 흐르면 차단 → X선관 장치보호, 환자피폭보호 고정자 Interlock : relay coil이 회전하지 않고 정상속도에 이르지 못하면 회로열어 X선 차단 Over Load Interlock : X선부하가 정격 이상이면 차단 | ||||||||||||||||||||||||
mAs 제어 관전류를 적분하여 그 적분치가 미리 설정한 값에 도달하면 X선 조사 정지 특징 ①관전류를 변화해도 조사시간 보충으로 일정한 mAs 얻어짐 ②관전류 변화(허용부하 범위내)에도 일정한 사진효과 획득 및 최단시간 조사가능 |
전원설비 | |
전원설비 주상변압기에서 X선 발생장치에 이르는 설비 전압강하가 10% 이하가 되도록 용량과 인입선 굵기 결정 | 접지설비 제3종 접지공사 : 접지저항 100Ω 이하 접지점 ①고전압 변압기의 출력측 중심점 ②고압 Cable 외피 ③관용기 외함 ④제어장치 |
주상변압기 용량 X선관 소비전력 = 75kW 필라멘트 가열전력 ≒ 1kW 그 외 전력 ≒ 4kW Total 전력 ≒ 80kW |
영상증강장치(Image Intensifier Tube) | |
원리 X선 → 입력형광면(형광상 형성) → 광전음극면(광전자방출 : 전자밀도영상) → 정전집속렌즈(가속) → 출력형광면(축소영상) | |
장점 : ①피폭선량 감소 ②검사시간 단축 ③X선관 부하량 감소 | |
구조 입력형광면 : 기판 위 CsI 100~200μm 증착 섬유소구조로 농축밀도 3배 높임 광전음극 : 안티몬(Sb)+Cs - 빛을 받아 광전자 방출 방출량∝형광량 고압(음극역할) 정전집속렌즈 : 다수 배열 양전위 전극 - 집속 가속양극 출력형광면 : 광전자가 입사하여 가시광으로 변화 | 휘도 증가 계수 휘도증가계수 = 변환계수 = 축소인자 = 총 휘도증가계수 = 축소인자 × 유량증가인자 |
X선 TV System | |
구성 X선관 - 환자 - 형광증배관 - 수상관 - VTR | |
원리 투과한 x선을 I.I가 밝은 형광상으로 만들고 이 형광상을 Lens계를 통해 TV camera로 촬영하여 형광상을 전기신호로 바꾸고 이것을 주사(scanning)의 방법으로 분해하여 영상신호를 만들어 TV브라운관에 다시 재현한다. | |
주사방식 순차주사 : 1번에서 끝번까지 순차적으로 실시 비월주사 : 하나씩 건너띄어 수평주사하고 나중에 주사 유효주사선수 : 525개 주사선 중 32개가 귀선기간에 없어지므로 493개 | 촬상관 비디콘 : 광도전효과 이용(명암에 따라 전기저항 바뀜) 장점 : 취급용이, SNR↑, 소형, 저렴, 장수명 단점 : 낮은 강도, 해상도↓, 잔상 오디콘 : 회귀신호 이용 장점 : 감도↑, 해상도↑ 단점 : 회로가 복잡, 취급 어려움, 부피 큼 플럼비콘 장점 : 대조도↑, 움직임에 의한 영상 끌림 방지 단점 : 반점 발생률↑, 단수명 |
CCD(Charge Coupled Device) MOS구조의 콘덴서가 연속해서 나열된 구조 촬상관과 비교 장점 : 소형, 전력소모 적음, 수명단축 없음 회부의 빛/온도 변화에 영향 적음 블루밍현상 적음, 중심과 가장자리 해상도차↓ 단점 : 엘리어싱, gain을 높이면 노이즈 큼 밝은 피사체에 수직 스미어 현상 동적화면의 왜곡, 대각선상 스테핑효과 | |
DSA(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Scout → Mask View(Scout반전) → Angiogram →Subtraction Angiogram(Mask + Angio) 소초점, 대용량 요구, 3상12피크 테트로드 or 인버터 시간차분법 순차촬상법 : 실시간으로 감영상 묘출 연속촬상법 : 1초에 최대 30매 영상 X선관 부하 및 피폭이 큰 단점 변화량촬상법 : 심실조영 경색구역 판단 에너지차분법 K흡수단차분법 : 조영제 흡수단 이용 비흡수단차분법 : 저E와 고E의 투과율 차분 이용 하이브리드차분법 : 시간차분법+에너지차분법 가장 좋음, 장내가스에 의한 motion artifact제거 | |
CR(Image Plate방식) 고감도, 고선예도, 광범위한 관용도 광휘진성 발광(최초 자극 정보가 형광체에 축적) 레이저빔 : 635nm 적색 He-Ne 레이저빔 이용 형광체 : BaFBr:Eu2+, BaFCl:Eu2+, BaFI:Eu2+ 장점 : 피폭선량 경감, 진단정보 풍부, 영상정보처리에 의한 새로운 진단법 개발 영상정보를 디지털화해서 보관, 검색, 통신가능 |
X선 발생장치의 고장 | |
X선관 Glow 발생 : 제작 시 배기불량, 과부하에 의한 gas 발생 ․ mA계가 끝까지 흔들림 ․ 전원 전압계, 1차 전압계 저하 ․ X선관에서 녹색 형광이 발생 ․ X선관 filament를 꺼도 이 현상이 일어남 X선관 filament의 단선 : 과부하에 의해 발생 ․ 고전압을 가하여도 X선을 발생치 않는다. ․ 가열 전압계의 진동이 정상보다 커짐(최대치 지시) ․ 가열 전압계의 조정기를 가동하여도 진동이 변치 않음 ․ 관전류계가 지시하지 않는다 Target의 요철, 용융 : 과부하에 의해 발생 ․ 동일 관전압, 관전류에서 선량율 저하 ․ gas가 발생되어 glow 발생 | 정류관 Glow 발생 : 정류작용의 상실 ․ mA계의 진동이 끝까지 가버림(최대치 지시) ․ 전원전압계와 1차 전압계가 현저히 감소(전압강하가 생김) ․ 정류관에서 녹색형광 발생 filament 가열 부족 ․ 정류관 전압강하가 커짐 ․ 정류관의 양극온도가 상승(glow 발생원인) ․ 정류관에서 X선 발생 ․ X선관의 관전압이 감소(사진농도 저하) filament 단선 ․ 전파정류에서 정류관 filament가 1개 단선된 경우 ․ 반파정류와 같음(mA계는 1/2지시, 선량률이 1/2) 정류기의 불량 : 정류 작용 상실 |
고압 변압기 변압기 2차측 절연 불량, 절연 파괴 ․ mA계의 진동이 커짐(최대치 지시) ․ 전원 전압계와 1차 전압계의 이상 강하 ․ fuse가 끊어짐 ․ circuit breaker 동작 1,2차 coil의 손상 및 단선 ․ 고압이 발생하지 않고, X선도 발생되지 않음 | 가열 변압기(X선관, 정류관) ․ 절연 불량과 절연파괴 - mA계의 진동이 커짐(최대치 지시) ․ coil의 단선 - filament의 점화가 안됨(X선이 발생되지 않음) |
고압 cable ․ cable head의 절연불량과 절연 파괴 - mA계의 진동이 커짐(최대치 지시) |
'병원 >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촬영 흉부, 복부 및 척추 (1) | 2017.07.06 |
---|---|
일반 촬영 -두경부- (0) | 2017.06.22 |
Angio (중재적 시술 ,혈관 조영술) (2) | 2017.06.21 |
방사선 사진학 (2) | 2017.06.13 |
MRI (4) | 2017.06.06 |
방사선 계측학 (1) | 2017.05.13 |
방사선 치료학 (5) | 2017.05.10 |
CT (5) | 2017.05.01 |